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가 미국의 장기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최고 등급인 ‘Aaa’에서 한 단계 낮은 ‘Aa1’로 강등했다고 지난 16일(이하 현지시각) 발표하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현지시각) 힌두스탄타임스에 따르면 무디스는 “미국 정부가 36조 달러(약 4경9000억원)에 이르는 부채와 급증하는 이자비용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며 “재정적자 축소를 위한 초당적 합의 도출에 계속 실패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무디스는 특히 “수십 년간 누적된 재정운영 실패가 미국의 경제 기반에 점차 부담을 주고 있다”며 “이런 경향이 반복되면 시장 신뢰가 흔들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무디스는 1919년 이후 미국에 최상위 등급을 부여해 왔지만 지난 2011년 부채한도 위기 당시 처음으로 경고를 발령했으며 지난 2023년에는 ‘부정적’ 전망으로 전환한 바 있다.
경쟁 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2011년에, 피치는 2023년에 각각 미국의 등급을 이미 한 차례 강등했다.
이번 조치는 무디스가 미국에 부여하던 마지막 최고 등급마저 내려앉았다는 점에서 시장에 충격을 안겼다는 지적이다. 다만 무디스는 이번 등급 조정과 함께 향후 전망은 ‘안정적’으로 조정해 추가 강등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즉각 반발했다. 스티븐 청 백악관 공보국장은 소셜미디어에 올린 글에서 이번 평가 작업에 관여한 마크 잔디를 무디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겨냥해 “그의 분석은 정치적 편향이 심하고 반복적으로 틀려왔다”며 “아무도 그의 말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미국 정치권에서도 반응이 나왔다.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이번 강등은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이 적자 확대 감세 정책을 계속 밀어붙인 결과”라며 “이제는 재정 건전성을 회복할 실질적 예산안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브라이언 베서운 미국 보스턴대 경제학 교수도 “부채를 줄이는 구체적인 재정 계획이 없다면 미국 경제에 대한 신뢰는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무디스는 마지막으로 “미국 경제는 여전히 크고 회복력이 강하며 달러 역시 세계 기축통화로서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며 “이런 강점들이 단기적인 충격을 흡수해줄 수 있지만 정부가 수익 확충이나 지출 절감을 통한 재정 균형을 되찾지 못한다면 추가적인 신용등급 하락 위험이 존재한다”고 경고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