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지수 2015년 이후 최고 수준…CSI 300, 3년 만에 최고치 경신
"채권·예금 수익률 낮아… 주식 시장 부의 효과 기대"… 美 연준 잭슨홀 회의 '주목'
"채권·예금 수익률 낮아… 주식 시장 부의 효과 기대"… 美 연준 잭슨홀 회의 '주목'

이는 주요 지수를 10년 만에 최고치로 끌어올리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고 18일(현지시각)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보도했다.
상하이종합지수는 18일 오전 1.2% 상승한 3740.50을 기록하며 2015년 8월 19일 이후 가장 높은 수준에 도달했다. CSI 300 지수 또한 1.5% 상승하여 3년 만에 가장 높은 종가를 기록할 준비를 마쳤다.
홍콩에서는 항셍지수가 0.6% 상승했고, 항셍 기술지수는 2% 급등했다. 상하이의 기술주 보드와 선전의 스타트업 벤치마크 역시 각각 3.1%, 3.6% 급등하며 강세를 보였다.
중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은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1년 만기 예금 금리는 1.5%에 불과하다. 이에 비해 CSI 300 지수 기업들은 지난 12개월 동안 평균 2.5%의 배당 수익률을 제공하고 있다.
중국 증시의 이러한 반등은 수년간 부진한 실적을 보인 후, 채권 상품의 매력이 사라지면서 투자자들이 다시 돌아오면서 이루어졌다.
상하이 화시 증권(Huaxi Securities)의 리 리펑(Li Lifeng) 애널리스트는 "주식 상승은 중국 가계의 위험 선호 성향을 높였다"며, "잠재적인 유입은 엄청날 수 있으며, 순환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중국 가계의 은행 예금은 50조 위안(약 9200조 원) 이상으로, 주택 가격 폭락과 노동 시장 악화로 인해 지난 한 해 동안 사람들이 더 많은 저축을 해야 했기 때문이다.
투자자들은 이번 주 와이오밍에서 열리는 잭슨홀 회의를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금요일 연설은 실망스러운 7월 고용 데이터 이후 다음 달 미국의 금리 인하 규모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트레이더들은 이미 다음 달 25bp 금리 인하 가능성을 80% 이상으로 예측하고 있다.
마진 거래자(margin trader)들도 대거 참여하고 있다. 레버리지 주식 매입액은 10년 만에 처음으로 2조 위안(약 368조 원)을 넘어섰으며, 2015년 6월 호황-불황 주기의 정점이었던 기록적인 2조 3천억 위안에 근접했다.
한편, 다른 주요 아시아 태평양 시장은 엇갈린 모습을 보였다. 일본의 닛케이 225 지수는 0.8%, 호주의 S&P/ASX 200은 0.1% 상승한 반면, 한국의 코스피는 1.3% 하락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