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XRP · 서클 CRCL "은행업 진출"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XRP · 서클 CRCL "은행업 진출"

갈링하우스 리플 CEO ... 뉴욕증시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
뉴욕증시/사진=로이터  이미지 확대보기
뉴욕증시/사진=로이터
[속보] 리플 XRP · 서클 CRCL "은행업 허가 신청" ... 뉴욕증시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

리플 XRP와 서클 CRCL이 연이어 은행업 허가 신청를 냈다.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 제도금융권 본격 진입"의 중대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있다.

가상화폐 엑스알피(XRP·리플) 발행사인 리플랩스가 미국 연방 당국인 통화감독청(OCC)에 은행업 인가를 신청했다. 브래드 갈링하우스 리플랩스 최고경영자(CEO)는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리플이 OCC에 국내 은행 인가(national bank charter)를 신청했다"고 밝혔다. 이어 "승인되면 우리는 주(州)와 연방 감독을 모두 받게 된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신뢰성을 나타내는 새롭고 특별한 기준"이라고 설명했다.

갈링하우스 CEO는 또 최근 자회사인 '스탠더드 커스터디 앤드 트러스트 컴퍼니'를 통해 연방준비제도 마스터(Federal Reserve master) 계좌를 신청했다면서 이로써 리플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RLUSD'의 준비금을 연방준비제도(Fed)와 함께 직접 보관하고 관리할 수 있게 된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면서 "2천500억달러(약 340조원)가 넘는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 RLUSD는 규제를 최우선으로 두고 기관들이 기대하는 기준을 설정한다는 점이 돋보인다"고 강조했다
서클(Circle)도 연방 규제 하의 신탁은행 설립을 공식 추진하고 있다. 서클은 최근 미국 통화감독청(OCC)에 ‘퍼스트 내셔널 디지털 커런시 뱅크(First National Digital Currency Bank)’ 설립을 위한 신탁은행 인가 신청을 제출했다. 이는 스테이블코인 USDC를 중심으로 한 규제 준수 및 기관 대상 수탁 서비스 강화 전략의 일환이다.

이번 신청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가 연방 단위에서 직접 규제를 받는 구조로 전환하려는 움직임의 대표 사례로 주목된다. 신탁은행은 전통적인 상업은행과 달리 예금 수신이나 대출이 불가능하지만, 다중 주 면허 취득 없이도 전국 단위의 규제 환경에서 운영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입장에서는 법적 불확실성을 줄이고 기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체계를 갖추게 된다.

서클의 제러미 알레어(Jeremy Allaire) 최고경영자(CEO)는 “연방 규제 하의 신탁은행 인가는 USDC 인프라를 강화하고 향후 제도 변화에 대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라며, 최근 상원을 통과해 하원 심의를 앞두고 있는 ‘GENIUS법’과의 연계를 강조했다. GENIUS법은 달러 연동형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명확한 규제 체계를 도입하는 내용으로, 해당 법안의 통과를 대비한 선제적 대응으로 이번 신청을 해석할 수 있다.

미국 감독청 OCC의 신탁은행 심사 과정에는 30일간의 공청회 절차가 포함되며, 일반적으로 120일 이내에 결론이 난다. 따라서 향후 3개월 내 서클의 신청 여부에 대한 윤곽이 드러날 전망이다. 규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암호화폐 산업에서, 제도권 편입을 우선시하는 기업들로서는 OCC 인가가 중요한 관문이 되고 있다.

서클의 이번 행보는 암호화폐 업계 전반의 움직임과 궤를 같이 한다. 보도에 따르면, 피델리티(Fidelity)의 디지털 자산 부문도 유사한 연방 신탁은행 인가를 추진 중이며, 앵커리지 디지털 뱅크(Anchorage Digital Bank)는 이미 2021년에 OCC 인가를 받은 바 있다. 이러한 흐름은 암호화폐 산업이 점차 제도권 금융 시스템에 진입하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내며, 기관 중심의 운영 안정성과 규제 준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음을 방증한다.

미국과 베트남 간에 무역 합의가 타결됐다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 후 베트남과 막 무역 합의를 했음을 발표하게 되어 영광"이라고 전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