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구형 전기자전거 교체 지원’에 847만대 판매…e바이크 대폭발

글로벌이코노믹

中, ‘구형 전기자전거 교체 지원’에 847만대 판매…e바이크 대폭발

지난 2017년 12월 13일(현지시각) 중국 푸젠성 샤먼의 한 공터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방치된 공유 자전거들 옆을 한 노동자가 공유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지난 2017년 12월 13일(현지시각) 중국 푸젠성 샤먼의 한 공터에 산더미처럼 쌓여 있는 방치된 공유 자전거들 옆을 한 노동자가 공유 자전거를 타고 지나가고 있다. 사진=로이터
중국 정부가 시행 중인 전기자전거 구형 교체 보조금 제도가 폭발적인 수요를 일으키며 전기자전거 산업 전반에 큰 변화를 몰고 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행 6개월 만에 800만대 이상이 판매됐고 연간 대비 판매 증가율은 600%를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전기차 전문매체 일렉트렉은 중국이 전국 단위로 시행 중인 이 교체 지원 정책으로 인해 올해 상반기에만 847만대의 신규 전기자전거가 도로에 등장했다고 6일(현지시각) 보도했다. 이는 대부분의 서방국가가 아직 e바이크 보급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스위치를 켠’ 순간 시장이 급격히 팽창한 사례라고 평가됐다.

이 프로그램은 기존의 낡고 비효율적인 전기자전거를 반납하면 새롭고 안전하며 배터리 성능이 우수한 모델을 구매할 때 상당한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보조금 규모와 조건은 지역과 차량 모델에 따라 다르지만 상당수 소비자에게는 실질적인 가격 부담을 줄여주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단순한 저가형 모델이 아닌 배터리 효율·제동 성능·전자장비 신뢰성 등이 향상된 고급형 모델을 적극적으로 선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렉트렉은 “이번 보조금 정책은 단지 구형 차량을 없애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산업 전체의 기술 업그레이드를 견인하고 있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특히 안전사고 우려가 컸던 저품질 리튬이온 배터리 탑재 차량을 시장에서 퇴출시키는 데 정책의 초점을 맞췄다. 그 대신 고성능 AGM 배터리나 고급 리튬이온 배터리, 그리고 실험적으로 도입 중인 나트륨이온 배터리까지 다양한 차세대 전력원을 장려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에는 지금까지 약 847만명이 참여했으며 전기자전거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643.5% 증가했고 월간 판매량 역시 2배 이상 증가했다. 이와 함께 신제품 생산량도 28% 가까이 늘어나면서 제조업계 전반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

이번 프로그램의 수혜는 대기업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전국 8만2000곳 이상의 전기자전거 판매점이 평균 30만2000위안(약 5700만원)의 매출 증가를 보고했으며 일부 소형 점포는 4만2000달러(약 5790만원)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경제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미치고 있다.

일렉트렉은 “이처럼 빠른 변화는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이라며 “보조금 제도는 본래 노후 차량과 가전제품의 교체를 통해 내수 활성화를 꾀하는 정책이었지만, 전기자전거 시장이 압도적으로 빠르게 반응했다”고 전했다.

중국의 도시 가구 상당수는 이미 전기자전거를 한 대 이상 보유하고 있어 이번 보조금은 ‘첫 구매 유도’가 아닌 ‘업그레이드 촉진’에 집중된 정책이다. 이에 따라 노후 차량의 물리적 교체뿐 아니라 소비자 인식과 제품 품질, 산업 구조까지 전방위적인 변화가 뒤따르고 있다는 분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