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일본차·인니 전자 15~19% 관세 폭탄…美 기업 ‘손실 5배, 아시아는 상호교역 9%↑’

지난 25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새로운 관세율은 당초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해 4월 발표한 인상안(일본 24%, 인도네시아 32%)보다 낮아졌지만, 일본산 비농산품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1.6%에 그쳤던 것을 감안하면 크게 오른 것이다.
미국 정부는 중국 공급망 의존도를 낮추고, 중국산 상품이 우회 수출되는 것을 막기 위한 전략이라 밝히고 있다. 하지만 이번 관세로 미국 내 자동차 기업 등 제조업계는 큰 부담을 떠안게 됐다는 지적이 많다. 한 미국 자동차 업체는 “일본에서 만든 자동차보다 미국에서 조립한 차량이 오히려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하는 일이 벌어졌다”고 밝혔다.
예일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 연구진이 최근 미국 주요 상장기업들의 실적 발표 자료를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기업들은 ‘관세가 도움이 됐다’는 언급보다 ‘관세로 손실을 봤다’는 언급이 다섯 배 이상 많았다.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로 미국 기업이 한 사람 앞에 해마다 2000~4700 달러(약 276만~650만 원)을 추가로 부담하게 됐다”는 조사 결과도 전했다.
미국이 동맹국에도 높은 관세를 부과한 영향으로 아시아 각국은 내부 거래를 강화하는 전략에 나서고 있다. 말레이시아 안와르 이브라힘 총리는 이달 동남아국가연합(ASEAN) 정상회의에서 “아시아끼리 더 많이 거래하고, 서로 투자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은 ‘아시아 가족’ 강조와 함께 동남아와의 교역 비중을 키우고 있다. 올해 1~5월 중국과 동남아의 교역량은 작년보다 9% 많아졌고, 6월 한 달 중국의 동남아로의 수출도 17% 가까이 뛰었다. 현지 시장에선 “방콕에서는 차 호출 앱을 쓰면 중국산 전기차가 더 자주 보인다. 유니클로와 이세탄 같은 일본 상점, 삼성·LG 등 한국과 중국 가전제품 점유율도 늘었다”는 소식도 나온다.
아시아 각국은 미국 시장 의존도는 여전하지만, 중국 전자상거래 업체의 현지 영업 금지나 우회 수입 방지 관세 등 과열된 중국 의존에서 벗어나려 다양한 조치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시아 내부 경제 협력이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미국의 새로운 관세 정책이 실질적으로 ‘공급망 강화’ 효과보다 동맹 간 갈등과 기업 부담만 키운다는 지적은 계속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다양한 나라가 엮인 공급망을 한 나라씩 나눠 협상하기보다, 함께 힘을 모아 대응하는 게 실제 비용과 효율 측면에서 유리하다는 목소리가 많다”고 밝혔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