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G, 멕시코 떠나지 않는다’.. 새 세탁기 공장 건립

글로벌이코노믹

‘LG, 멕시코 떠나지 않는다’.. 새 세탁기 공장 건립

트럼프 관세도 뚫고 세탁기 공장 신설, 6700명 일자리와 전기차 부품 성장까지
미국의 높은 관세 장벽 앞에서도, LG전자는 오히려 멕시코에 새로운 세탁기 생산시설을 열기로 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미국의 높은 관세 장벽 앞에서도, LG전자는 오히려 멕시코에 새로운 세탁기 생산시설을 열기로 했다. 사진=로이터
미국의 높은 관세 장벽 앞에서도, LG전자는 오히려 멕시코에 새로운 세탁기 생산시설을 열기로 했다. 최근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LG전자는 멕시코에 세탁기 신규 생산라인을 설치해 현지 생산능력을 키우고 있다.

지난 25(현지시각) 멕시코 현지 매체 CEO’ 보도에 따르면 LG전자는 올 9월 멕시코 멕시칼리 지역에서 세탁기 생산을 새로 시작할 계획이다. 이 같은 결정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작한 관세 정책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공급망 다변화와 생산 거점 재정비를 위한 전략으로 분석된다.

LG 최고재무책임자(CFO) 김창태는 최근 실적 발표 전화 회의에서 미국 정부의 관세 인상 영향에 맞서기 위해 전 세계 공장의 생산 최적화와 공급망을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 공통 관세 체계 아래에서 공급 시스템을 유지하면서도, 배송 비용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미국 전역에 물류센터를 운영 중이라며 미국과 멕시코 간 상호 관세가 81일부터 적용되면 양국 생산 공장의 공급량을 늘릴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 변치 않는 현지 고용과 전기차 부품깃발
LG전자는 멕시코를 냉장고와 세탁기 등 주요 가전제품 생산의 핵심 거점으로 여기고 있다. 전장 부품 사업을 담당하는 LG마그나 사업부도 한국, 중국, 헝가리와 함께 멕시코에 생산 공장을 두고 있다. 멕시코에서 LG마그나 공장은 지난해 9월부터 전기차 부품을 생산해 올해 1분기에만 전체 매출의 약 30%를 차지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4분기까지 이 비율이 40%를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LG전자는 올 3월 미국 테네시주 클락스빌로 냉장고와 TV 생산을 일부 옮긴다는 백악관 보도에도 멕시코 철수는 전혀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회사는 멕시코 현장에서 6700명 이상을 직접 고용하며 지역 경제와 기술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멕시코 시장과 파트너, 고객과 함께 계속 성장하고 혁신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관세와 현지 생산 거점 경쟁이 이어지는 지금, LG전자가 멕시코에서 굳건한 이유는 단순한 생산 확장이 아니라, 고용·지역 성장·미래차 부품 투자라는 세 박자가 맞아떨어지기 때문이다.

시장에선 LG전자의 멕시코 현지 생산 확대가 관세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실용적 방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편, 관세 정책 변동에도 LG의 멕시코 추가 투자 계획은 전 세계 가전과 전장 부품 시장에서 대외 변수에 대응하는 능력을 키우는 사례로 보고 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