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와 무역협상 타결 직후 발표...관세 압박 본격화
무역확장법 232조 근거...철강·알루미늄 이어 반도체 정조준
무역확장법 232조 근거...철강·알루미늄 이어 반도체 정조준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하워드 루트닉 미 상무장관은 지난 27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과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의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루트닉 장관은 이번 반도체 조사가 "EU가 포괄적 무역협정을 추진한 '주요 이유' 중 하나"였다고 설명하며, 조사가 EU와의 무역 협상에 미친 영향을 내비쳤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추가 관세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했다. 그는 "대만을 비롯한 여러 지역의 많은 기업이 새로운 관세를 피하고자 미국 내 반도체 제조에 투자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폰데어라이엔 위원장이 "훨씬 더 나은 방식"으로 임박한 반도체 관세 문제를 피했다며 EU와의 새로운 무역 협정 타결 소식을 알렸다. 양측이 발표한 새 기본 무역 협정은 미국으로 들어오는 EU 수입품 전면에 걸쳐 15%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별도 조치로 25%의 더 높은 관세가 예고된 자동차도 포함한다.
◇ '안보' 잣대로 관세 장벽…무역확장법 232조가 근거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교역국에 대한 관세 공세로 세계 무역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지난 4월 10%의 보편적 관세를 발효시킨 데 이어, 오는 8월 1일부터는 대부분의 주요 교역 상대국에 관세율을 대폭 올리겠다고 예고하며 세계 무역 질서를 뒤흔들고 있다.
◇ 높은 대만 의존도…바이든 '반도체법'과 대조적 행보
현재 미국의 높은 대만산 반도체 의존도는 민주당 출신인 조 바이든 전 대통령이 임기 중 '반도체법(Chips Act)'을 통해 수십억 달러 보조금을 지급하며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을 늘리려 했던 핵심 배경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