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구글·아마존, 2040년까지 원자력 1,400만kW 조달 목표… 日 원전 용량 '압도'
SMR 자체 건설·전력사 파트너십 강화… 日 IHI·히타치 등 '새로운 사업 기회' 기대
SMR 자체 건설·전력사 파트너십 강화… 日 IHI·히타치 등 '새로운 사업 기회' 기대

메타(Meta),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는 2040년까지 원자력 발전소에서 총 1,400만 킬로와트(kW)의 전력을 조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양은 현재 일본에서 가동 중인 원자로에서 나오는 1,300만 kW를 초과하는 규모다.
생성형 AI의 급속한 확산이 원자력에 대한 이러한 투자를 주도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30년에 미국의 데이터센터가 현재보다 130% 더 많은 전력을 소비할 것으로 예상한다.
빅테크 기업들은 그동안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에서 전력을 조달해왔지만, 재생에너지 출력의 급격한 변동성 때문에 24시간 가동되는 데이터센터에는 적합하지 않아 원자력으로 초점을 옮긴 것이다.
아마존은 펜실베이니아의 데이터센터에 최소 2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며,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원자력 발전소 근처에 데이터센터를 배치할 방침이다.
기술 기업들은 또한 기존 원자력 발전소보다 저렴한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를 자체적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아마존은 미국 SMR 개발사인 X-에너지 리액터(X-Energy Reactor)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2039년까지 총 출력 500만 kW를 초과하는 SMR을 건설하려 한다.
구글도 스타트업과 함께 2035년까지 총 출력 50만kW의 SMR을 건설할 계획이다. SMR은 주요 부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기 때문에 건설 비용이 저렴하다.
미국에서 SMR 구축이 가속화되면서 일본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가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SMR 개발업체 뉴스케일 파워(NuScale Power)에 투자하는 IHI는 원자로 압력 용기와 같은 분야의 첨단 기술로 해외 시장을 개척하려 한다.
히타치(Hitachi) 역시 미국 GE 버노바(GE Vernova)와 함께 SMR을 개발하고 있어 이익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원자력은 2024년 미국 에너지 믹스의 18%를 차지했다. 1979년 스리마일 아일랜드 사고 이후 신규 건설이 둔화되었고,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안전 규제가 강화되면서 건설 지연과 비용 증가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풍에도 불구하고 트럼프 행정부는 원자력 발전을 지지하며, 신규 프로젝트 심사 기간 단축 및 연방 토지에 공장 건설 허용 등의 행정 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