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TSMC, 트럼프 '3000억 달러 투자설'에 휘청…주가 급락

글로벌이코노믹

TSMC, 트럼프 '3000억 달러 투자설'에 휘청…주가 급락

트럼프 발언 한마디에 시가총액 30조 원 증발…TSMC는 "확인 불가"
배경엔 미국의 20% 고율 관세…'투자 통한 관세 인하' 압박 분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의 대규모 추가 투자를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은 후 주가가 폭락하는 등 파문이 일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의 대규모 추가 투자를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은 후 주가가 폭락하는 등 파문이 일고 있다. 사진=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최대 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TSMC의 대규모 추가 투자를 시사하는 발언을 내놓아 파문이 일고 있다. 6일(현지 시각)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투자액은 공식 발표치의 두 배에 이른다. 그러나 TSMC는 공식 확인을 거부했고,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하루 만에 TSMC 주가가 급락하고 대만 증시 전체가 휘청였다고 포커스 타이완이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 발언의 여파는 금융시장을 곧바로 덮쳤다. 발언 직후 뉴욕 증시에서 TSMC의 미국주식예탁증서(ADR)는 하루 전보다 2.73% 떨어진 232.47달러로 장을 마감했다. 충격은 대만 증시로 이어져 6일 장 초반 TSMC 주가는 한 주에 25대만달러(2.17%) 급락한 1125대만달러까지 밀려났다. 대만 시가총액 1위 기업인 TSMC의 주가 하락은 가권지수를 201포인트 끌어내렸고, 대만 증시 전체 시가총액에서 6483억 대만달러(약 30조 원)가 사라졌다.

논란은 트럼프 대통령이 CNBC 방송 '스쿼크 박스'에 출연해 한 발언에서 비롯됐다. 그는 "세계 최대 기업이 대만에서 건너와 애리조나에 3000억 달러(약 416조 원)를 투자해 칩과 반도체를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공장을 짓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앞으로 1주일 정도 안에 반도체와 칩에 대한 새로운 관세가 공개될 것"이라며 미국 내 생산을 원하기에 이를 따로 다루고 있다고 덧붙였다.

◇ 3000억 달러 발언과 1650억 달러 현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3000억 달러는 TSMC가 공식 발표한 투자액을 훨씬 웃돈다. 앞서 TSMC는 지난 3월, 기존 650억 달러(약 90조 원) 투자에 1000억 달러(약 183조 원)를 더해 총 1650억 달러(약 228조 원)를 미국에 투자한다고 발표한 바 있으며, 계획의 핵심은 총 6개의 반도체 공장과 2개의 첨단 포장 시설, 1개의 대형 연구개발센터를 짓는 것이다. 이미 1공장은 2025년 1월부터 4나노 칩 양산을 시작했으며, 2공장은 2028년을 목표로 3나노와 2나노 공정을, 3공장은 2030년께 완공을 목표로 2나노 이하 차세대 공정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 투자로 일자리 약 1만2000개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TSMC는 6일 오전 트럼프 대통령 발언의 사실 여부를 묻는 언론의 질문에 "회사의 공식 성명 외에는 밝힐 내용이 없다"며 말을 아꼈다.

◇ 발언 배경엔 '20% 고율 관세' 압박


시장은 이번 발언이 미국의 대만 관세 압박과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한다. 현재 미국은 경쟁국인 한국과 일본의 반도체 제품에 15% 관세를 매기는 반면, 대만에는 더 높은 20% 관세를 적용하고 있다. 이 때문에 대만 재계에서는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대규모 대미 투자 약속이 필요하다는 관측이 꾸준히 나왔다. 그러나 시장은 이번 발언이 확정된 계획이라기보다는 정치적 발언으로 보고 있다.

TSMC는 미국의 관세 정책에 공개적으로 우려를 나타내 왔다. 지난 5월 5일 미국 상무부에 보낸 서한에서 "새로운 수입 제한 조치는 경쟁이 치열한 기술 산업에서 현재 미국의 우위를 위태롭게 하고, 피닉스에 있는 TSMC 애리조나의 중요 투자 계획을 포함해 미국 내 여러 반도체 투자 사업에 불확실성을 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TSMC의 공식 애리조나 투자액은 1650억 달러이며, 트럼프 대통령의 '3000억 달러' 발언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 추가 투자가 실제로 논의되더라도 그 정확한 규모와 내용은 양국 정부와 업계의 공식 발표 이후에야 드러날 전망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