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3534달러 금값 신기록 '하루천하'...백악관, 스위스 금괴 '39% 폭탄 관세' 수정 예고

글로벌이코노믹

3534달러 금값 신기록 '하루천하'...백악관, 스위스 금괴 '39% 폭탄 관세' 수정 예고

CBP '스위스 금괴도 관세 대상' 판결에 시장 패닉...백악관 '잘못된 정보' 긴급 수습
글로벌 금값이 요동을 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괴 관세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행정명령을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한다고 백악관이 나섰다. 이미지=챗GPT 이미지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 금값이 요동을 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괴 관세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행정명령을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한다고 백악관이 나섰다. 이미지=챗GPT 이미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금괴 관세의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행정명령을 가까운 시일 내에 발표한다고 백악관이 지난 8(현지시간) 밝혔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9일 보도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이날 "백악관은 가까운 시일 내에 금괴와 기타 특수 제품의 관세 관련 잘못된 정보를 바로잡는 행정명령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이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이 지난달 31일 발표한 판결로 시장이 혼란에 빠진 것을 수습하려는 조치로 보인다. 관세국경보호청은 스위스산 1킬로그램과 100온스 금괴가 39% 관세 대상이라고 판결했다. 이 결정은 지난 4월 백악관이 금괴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에서 빼겠다고 발표한 내용과 맞지 않는다.

관세국경보호청 판결이 알려진 뒤 12월 인도분 미국 금 선물은 8일 새벽 트로이온스당 3534.10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후 백악관의 명확화 계획이 보도되면서 금 가격은 3460~3495달러(481~486만 원) 수준으로 내려왔다. 금은 올해 들어 31% 올라 무역 갈등과 지정학 불안 속에서 안전 자산으로 각광받고 있다.
런던 금괴시장협회(LBMA)는 이날 저녁 미국 당국에 "설명을 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위스 귀금속협회 크리스토프 빌트 회장은 "관세가 미국과의 금 거래에 미칠 영향을 특별히 우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관세국경보호청 판결이 행정 착오일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한 업계 임원은 "미국은 4월 백악관 발표가 틀렸는지, 아니면 지금 관세국경보호청이 틀렸는지 결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스위스는 전 세계 최대 금 정제 허브로, 미국의 관세 결정으로 특별히 큰 피해를 입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스위스와 400억 달러(556000억 원)의 무역적자를 기록하고 있다며 39% 관세를 매겼다. 하지만 미국은 스위스와 서비스 무역에서는 297억 달러 흑자를 내고 있어 전체 무역수지는 크게 불균형하지 않다.

UBS의 조니 테베스 전략가는 "스위스에 정제 능력 대부분이 모여 있어 관세 비용이 상당히 높을 것"이라며 "명확한 해답이 나올 때까지 금 시장과 귀금속 시장 전반이 매우 불안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분석했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사태가 뉴욕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금융 시장과 런던 중심의 실물 금 시장 사이 연결고리를 위협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미국 코멕스는 세계 최대 금괴 파생상품 시장이지만 효율적 기능을 위해서는 실물 금 시장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분석이다.

현재 스위스 최대 수출품인 금과 두 번째 수출품인 의약품은 관세에서 빠져 있어 실제 관세 적용률은 39%보다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