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테슬라의 290억 달러 보상…"CEO 자기애 키워 장기 위험 될 수도"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테슬라의 290억 달러 보상…"CEO 자기애 키워 장기 위험 될 수도"

예일 경영대학원 "성과 보상 전제 무너져…오히려 해로운 행동 조장"
"자기 과시욕 부추겨 기업 성과·신용도 하락"…투자자 '머스크 위험' 우려 커져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최근 그에게 지급된 290억 달러(약 40조 원) 규모의 보상 패키지를 두고 예일 경영대학원 등 전문가들은 'CEO 자기애'를 키워 회사에 장기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 최근 그에게 지급된 290억 달러(약 40조 원) 규모의 보상 패키지를 두고 예일 경영대학원 등 전문가들은 'CEO 자기애'를 키워 회사에 장기적인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사진=로이터
경영자의 성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천문학적인 주식 보상이 오히려 기업의 발목을 잡는 '독'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미국 경제전문지 배런스는 25일(현지시각),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지급한 290억 달러(약 40조 원) 규모의 보상안을 그 사례로 지목했다. 이미 1200억 달러(약 167조 원)가 넘는 지분을 보유한 경영자에게 주어지는 추가 보상은 실질적인 동기 부여 효과 없이 'CEO 자기애'만 키워 장기적으로 기업에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경고를 인용하면서다.

이러한 주장은 예일 경영대학원의 가우탐 무쿤다 강사에게서 나왔다. 경영학자이자 『없어서는 안 될 존재: 리더가 진정으로 중요할 때(Indispensable: When Leaders Really Matter)』의 저자이기도 한 그는 인터뷰에서 "이미 막대한 양의 주식을 보유한 CEO에게 대규모 자사주를 부여하는 것은 회사와 주주에게 해로운 행동을 조장한다"고 지적했다.

무쿤다의 지적은 CEO에게 막대한 주식 보상을 하는 것이 경영 동기를 부여한다는 일반 통념을 정면으로 반박한다. 그는 특히 보상 수령인이 이미 막대한 지분을 가진 때에는 이 논리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테슬라 이사회가 290억 달러(약 40조 원)의 보상을 승인하기 직전, 머스크는 이미 당시 시가 1200억 달러(약 167조 원)에 이르는 회사 지분 13%를 보유한 거부였다. 무쿤다는 "그렇게 막대한 돈을 버는 것만으로 최선을 다할 동기가 부여되지 않는다면, 290억 달러(약 40조 원)를 추가하는 것은 아무런 차이를 만들지 못할 것"이라며 "이렇게 되면 성과 보상의 전제 자체가 무너진다"고 꼬집었다. 테슬라 측은 관련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다.

◇ 거액 보상, 동기부여 아닌 '자기애'의 불쏘시개 되나
무쿤다는 거액의 보상이 단순한 자원 낭비를 넘어 CEO의 자기애 성향을 부추기는 '불쏘시개'가 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이 분석은 개인에 대한 심리학적 진단이 아니라, 경영학계에서 활발히 연구되는 '조직행동학 자기애'라는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거대 보상 제도는 CEO의 자기 과시욕을 자극하고 동료 집단 내에서 지위의 상징으로 변질돼 결국 길게 보면 기업에 부담을 지운다는 것이다.

학계에서는 CEO의 자기애를 측정하기 위해 ▲연차 보고서의 사진 크기 ▲CEO 사무실 초상화의 크기 ▲공식 서명의 크기 ▲인터뷰에서 1인칭 단수 대명사 사용 빈도 등 다양한 대리 지표를 활용한다. 무쿤다는 머스크 개인에 대한 비난이 아님을 전제하면서도, 그가 "CEO들 사이에서 이례적일 만큼 자신에게 관심이 집중되기를 추구하는 것이 분명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예를 들어, '아이언맨 2'에 카메오로 출연한 CEO는 거의 없다"고 덧붙였다.

◇ '머스크 위험' 현실화?…기업가치 흔들릴 수도

실제로 다수의 학술 연구는 CEO 자기애와 기업의 부정적인 성과 사이의 상관관계를 입증하고 있다. 주요한 장기 위험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성과 변동성이 커진다. 한 연구는 '자기애에 빠진 CEO가 이끄는 회사는 극단적이고 불안정한 조직 성과를 낳는다'고 밝혔는데, 이는 전기차 혁신 성공과 판매 부진에 시달리는 사이버트럭의 실패를 오간 테슬라의 극심한 성과 변동과도 비슷하다. 둘째, 재무 성과가 나빠질 수 있다. 실증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해당 기업들은 수익성과 영업현금흐름이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신용도가 나빠진다. 또 다른 연구에서는 자기애에 빠진 CEO가 이끄는 기업이 더 낮은 신용평가를 받는다고 결론 내렸다.

이번 사안은 CEO 보수 논쟁의 초점을 바꾸고 있다. 지금까지는 보수의 '형평성'이나 '자원 낭비' 쪽이 주로 거론됐지만, 이제는 보상 구조가 조직의 장기 건전성 자체를 훼손할 수 있다는 새로운 논점이 떠올랐다. 투자자 처지에서는 '머스크 개인이 곧 회사 위험'이 되는 현상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테슬라는 이미 머스크의 트위터(X) 인수 논란, 예측 불가능한 경영 방식 등으로 주주 신뢰의 급등락을 경험한 바 있다.

짧게 보면 이번 보상 승인은 머스크의 회사 장악력을 강화하고, 강력한 팬덤 덕에 주가 충격은 제한될 수 있다. 그러나 앞으로 길게 보면 무리한 신사업 추진이나 지나친 자기 홍보 등 자기애 경영이 심화돼 경영 변동성을 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머스크 없는 테슬라를 상상하기 어려운 현 구조 속에서 기업가치가 더욱 그의 개인 행동에 종속될 위험이 커졌다.

이번 290억 달러(약 40조 원) 주식 보상은 단순한 보수 문제를 넘어 '머스크-테슬라' 구조 자체의 위험을 키우는 중대한 지배구조 경고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학계의 연구들은 이러한 초대형 보상이 동기 부여 효과보다 CEO 자기애를 강화해 기업의 장기 성과를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한다. 테슬라의 이사회와 투자자들이 '보상의 효과'와 '장기 위험'의 균형을 다시 평가해야 할 중요한 시점이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