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 “인구 증가가 신규 보급 효과 무력화” 경고·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해법 시급

지난 10일(현지시각)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전기 미접속 인구가 2020년 이후 약 7억 명 선에서 줄어들지 않아, 인구 증가가 신규 보급 효과를 무력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력 보급 ‘정체’ 현상
IEA는 2018년 전기를 쓰지 못한 사람이 약 9억 명이었으나 2025년에도 약 7억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전력 보급률은 2017년 88%에서 2022년 91.9%로 올랐지만, 지난 3년간 개선 폭이 거의 멈춰 ‘정체 국면’에 접어들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2024년 기준 6억 6600만 명이 여전히 기본 전력 서비스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7) 달성을 위해선 해마다 1억 명 이상에게 전력을 연결해야 하지만, 현 추세로는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구조적 어려움
IEA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인구 증가율이 높아 전력망 확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 전력 보급률은 2012년 30%에서 2024년 50%로 올랐으나, 같은 기간 가구당 평균 전력 소비가 25% 줄어 이용 여력이 악화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전기 요금 인상 폭이 가계소득 상승률을 크게 앞질러, 저소득층이 전기 사용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차입비용 상승과 개발 자금 감소가 맞물려 전력망 확충 사업이 지연되는 문제도 겪고 있다.
의료·경제 활성화에도 걸림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의료시설 전력 연결률은 2012년 30%에서 2024년 50%로 개선됐지만, 전력 불안정으로 백신 냉장 보관·응급 수술 등에 차질이 잦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안정적 전력 공급 없이는 의료 서비스 강화와 경제 회복이 동시에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한다. 분산형 태양광 발전과 배터리 저장 시스템을 엮은 ‘전력 서비스형’ 모델이 대안으로 떠오르지만, 투자와 운영 자금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갈등하는 정책·자금 여건
IEA는 일부 국가에서 전력 보급 목표를 위한 새 정책을 내놓았으나, 고금리 대출 부담과 국제 개발 자금 감소가 서로 부딪혀 진전이 더디다고 분석했다. 차입비용이 높아지면 신규 프로젝트 착수가 어려워지고, 지원 자금 규모가 줄면 확장 계획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 목표와 자금 여건이 동시에 맞아떨어져야 전력 보급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