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 세계 8.5% “전기 없는 삶” 고통...2030 보편적 공급 목표 ‘빨간불’

글로벌이코노믹

전 세계 8.5% “전기 없는 삶” 고통...2030 보편적 공급 목표 ‘빨간불’

IEA “인구 증가가 신규 보급 효과 무력화” 경고·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해법 시급
AI 부므로 선진국에 전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전 세계 인구의 약 8.5%가 전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지=GPT4o이미지 확대보기
AI 부므로 선진국에 전력난이 심화되는 가운데 전 세계 인구의 약 8.5%가 전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지=GPT4o
전 세계 인구의 약 8.5% 전기 혜택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AI 보급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설 붐 등으로 전력난이 선진국을 중심으로 문제가 되는 가운데 지구의 다른 한쪽에서는 기본적인 전기조차 부족해 불편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현지시각) 배런스 보도에 따르면,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세계 전기 미접속 인구가 2020년 이후 약 7억 명 선에서 줄어들지 않아, 인구 증가가 신규 보급 효과를 무력화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전력 보급 정체현상


IEA2018년 전기를 쓰지 못한 사람이 약 9억 명이었으나 2025년에도 약 7억 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했다. 전력 보급률은 201788%에서 202291.9%로 올랐지만, 지난 3년간 개선 폭이 거의 멈춰 정체 국면에 접어들었다.

세계보건기구(WHO)2024년 기준 66600만 명이 여전히 기본 전력 서비스를 확보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지속가능발전목표(SDG7) 달성을 위해선 해마다 1억 명 이상에게 전력을 연결해야 하지만, 현 추세로는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구조적 어려움


IEA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인구 증가율이 높아 전력망 확대 속도를 따라잡지 못한다고 밝혔다. 이 지역 전력 보급률은 201230%에서 202450%로 올랐으나, 같은 기간 가구당 평균 전력 소비가 25% 줄어 이용 여력이 악화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전기 요금 인상 폭이 가계소득 상승률을 크게 앞질러, 저소득층이 전기 사용을 줄일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차입비용 상승과 개발 자금 감소가 맞물려 전력망 확충 사업이 지연되는 문제도 겪고 있다.

의료·경제 활성화에도 걸림돌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의료시설 전력 연결률은 201230%에서 202450%로 개선됐지만, 전력 불안정으로 백신 냉장 보관·응급 수술 등에 차질이 잦다.

에너지 전문가들은 안정적 전력 공급 없이는 의료 서비스 강화와 경제 회복이 동시에 이뤄질 수 없다고 지적한다. 분산형 태양광 발전과 배터리 저장 시스템을 엮은 전력 서비스형모델이 대안으로 떠오르지만, 투자와 운영 자금을 어떻게 확보할지가 관건이다.

갈등하는 정책·자금 여건


IEA는 일부 국가에서 전력 보급 목표를 위한 새 정책을 내놓았으나, 고금리 대출 부담과 국제 개발 자금 감소가 서로 부딪혀 진전이 더디다고 분석했다. 차입비용이 높아지면 신규 프로젝트 착수가 어려워지고, 지원 자금 규모가 줄면 확장 계획 자체를 재검토해야 한다. 업계 관계자는 정책 목표와 자금 여건이 동시에 맞아떨어져야 전력 보급이 활력을 되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