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위기"

구글이 양자컴으로 가상화폐 암호 해독하는 윌로우 알고리즘 개발에 성공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등이 위기를 맞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 ETF 자금이 대거 이탈하고 있다.
23일 뉴욕증시와 암호화폐 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Bitcoin, BTC) 커뮤니티의 대표적 논객인 애널리스트 찰스 에드워즈(Charles Edwards)는 암호화폐 업계가 2026년까지 양자컴퓨팅 위협을 해결하지 못하면 역사상 최악의 약세장을 맞이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단순한 가격 하락이 아닌 시스템 자체의 존립 문제를 제기한다는 경고이다. 에드워즈는 공개 키에서 개인 키를 재구성하는 하드웨어를 만드는 데 약 2년에서 3년이 걸릴 것이며 이는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구글(Google), IBM, 중국 국가 연구소가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현실적 경쟁이라고 설명했다. 기술적 세부사항을 제외하더라도 이는 암호화폐 시장이 직면한 실존적 위협이다.
공개 키가 열린 문으로 변하는 순간을 큐데이(Q-Day)라고 부른다. 큐데이가 오면 안전해 보이는 코인도 내일 도난당할 수 있다. 공격자들이 이미 데이터를 복사해 나중에 해독하기를 기다리고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가 보유한 것으로 추정되는 100만 BTC를 포함해 전체 비트코인의 약 25%를 위험에 빠뜨린다.
'윌로우'는 구글이 지난해 현존하는 가장 빠른 슈퍼컴퓨터인 프런티어가 10셉틸리언(10의 24제곱)년, 즉 1조와 1경, 1해보다 큰 10자년 걸려야 풀 수 있는 문제를 단 5분 안에 풀었다며 발표한 양자 칩이다. 윌로우를 이용한 '퀀텀 에코스'는 세계 최고 성능의 슈퍼컴퓨터가 실행하는 최상의 고전 알고리즘보다 연산 속도가 1만3천배 빠르다고 구글은 설명했다. 기존의 슈퍼컴퓨터의 능력을 넘어서면서도 전 세계적으로 처음 '검증 가능한' 알고리즘이다. 구글은 2019년 첫 '양자 우위'를 달성했다고 발표했다. 당시에는 그 사실을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일각에서는 구글 발표에 의문이 제기되기도 했다.
구글은 '퀀텀 에코스' 알고리즘을 통해 '양자 우위'가 검증 가능하다고 밝혔다. 또 2019년 당시에는 0.1%의 데이터만 정확해도 성과로 인정받았지만, 이번 '검증 가능한 양자 우위'를 위해서는 오류 데이터가 0.1% 미만이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연구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10인년(연구자 10명이 1년 동안 집중적으로 테스트한 수준의 검증 과정)에 달하는 엄격한 테스트를 통해 '윌로우' 칩의 성능을 슈퍼컴퓨터와 비교 검증했으며, 알고리즘 최적화를 위해 총 1조 회에 달하는 측정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구글은 이번 알고리즘이 이론적 성과를 넘어 신약 개발이나 신소재 과학 등 실제 산업에 적용될 구체적인 가능성을 제시하며, 특히 자기공명영상장치(MRI)의 기술적 기반이기도 한 핵자기 공명(NMR) 기술을 '분자 눈금자'로 활용해 분자 구조를 더 정밀하게 측정하는 길이 열렸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이를 토대로 5년 이내에 양자 컴퓨터로만 가능한 실제 응용 사례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 대규모 오류 수정 양자 컴퓨터로 기술을 확장해 나가면서 더욱 유용한 활용 사례들을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