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의 ‘머스크 1조달러 보상안’ 놓고 노조·민주당 반발

글로벌이코노믹

테슬라의 ‘머스크 1조달러 보상안’ 놓고 노조·민주당 반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이미지 확대보기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진=로이터


테슬라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최대 1조달러(약 1경3950조원) 규모의 전례 없는 보상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해 노조와 민주당 인사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고 로이터통신이 29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테슬라 주주들은 다음달 6일 주주총회를 열고 머스크의 보상안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이번 안건은 기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CEO 보상안으로 테슬라 이사회는 “부결될 경우 머스크가 회사를 떠날 수도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노조 “성과보상 아닌 권력집중”

민주당 소속의 토머스 디나폴리 뉴욕주 감사원장은 “산만한 최고경영자를 다시 집중시키기 위해 막대한 주식보상을 해야 한다는 논리는 비합리적”이라며 “이는 성과보상이 아니라 통제되지 않은 권력에 대한 보상”이라고 비판했다.

같은 당 소속으로 뉴욕시 감사원장인 브래드 랜더 역시 “이번 안건은 사실상 주주들의 발언권을 포기하라는 요구”라고 주장했다.

이에 맞서 플로리다주와 텍사스주 등 공화당 주도 지역의 연금기금들은 “모든 주주에게 이익이 되는 야심 찬 목표와 거버넌스 안전장치가 포함돼 있다”며 찬성 의사를 밝혔다.

◇공화·민주 갈린 표심…소액주주가 변수

로이터는 “이번 표결은 정치 성향에 따라 갈리고 있다”며 “공화당 측은 경제 성장과 기술혁신을 내세우며 찬성, 민주당과 노조는 권력 집중과 과도한 보상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 주요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스테이트스트리트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고 뱅가드 역시 논평을 거부했다. 다만 테슬라는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아 소액주주들의 투표 참여 여부가 승부를 가를 가능성이 크다.

◇머스크 “로봇택시·AI 로봇 등 목표 달성해야”

머스크 지지자들은 “보상안은 단순한 금전적 보상이 아니라 회사 시가총액을 7조5000억달러(약 1경460조원) 규모로 끌어올리기 위한 도전”이라며 “로보택시 상용화와 AI 로봇 생산 같은 혁신 목표 달성을 유도하는 장치”라고 주장했다.

◇투자자·정치권 논란 속 표결 임박

앤 리프턴 미국 콜로라도대 교수는 “대형 자산운용사들은 xAI와 스페이스X 등 머스크가 이끄는 다른 기업에 대한 투자 기회를 고려해 찬성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로이터는 “정치적 논쟁과 기업지배구조 논란 속에서도 머스크의 막강한 팬층과 소액주주의 지지가 변수가 될 것”이라며 “머스크가 주주들의 신임을 지켜낼 수 있을지가 향후 테슬라의 경영 방향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