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확대보기중국이 자국의 인공지능(AI) 산업 전반에 국가 차원의 자본과 인프라를 쏟아붓고 미국과의 격차 축소에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미국은 초거대 모델과 반도체 기술에서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은 규제 완화, 대규모 연산 인프라 구축, 비용 절감형 모델 개발을 앞세워 추격 폭을 좁히는 모양새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1일(현지시각) 보도했다.
WSJ는 양국의 이같은 경쟁 양상에 대해 “산업과 지정학 전반을 재편할 AI 냉전”이라고 진단했다.
WSJ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부터 내몽골 등지에 대규모 데이터센터와 연산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풍력과 태양광을 연결해 저렴한 전력을 확보하고 있다. 연산 자원을 국가가 직접 조달하거나 기업이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식으로 일종의 ‘국가 클라우드’ 구축이 2028년까지 추진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은 규제도 빠르게 완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에는 생성형 AI 검증 절차가 강화됐지만 올해부터는 일정 수준의 신뢰를 확보한 기업에 대해 데이터 검증 절차를 간소화하는 등 상용화를 서두르고 있다는 것. 이같은 환경 변화 속에 올해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선보인 ‘문제해결형’ 모델이 실리콘밸리의 주목을 받으며 업계 분위기가 달라졌다고 WSJ는 보도했다. 리창 중국 국무원 총리는 이 모델을 두고 “중국이 자랑할 만한 성과”라고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미국의 우세도 여전하다. 초거대 AI 모델 개발력과 핵심 반도체 수급에서 중국을 앞서고 있고 민간 투자 규모 역시 압도적이다. WSJ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의 AI 스타트업 투자액은 1040억 달러(약 152조4640억 원)에 달했다. 다만 중국은 아직 최고 성능의 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지 못해 차세대 모델 개발이 지연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WSJ는 전했다.
중국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스스로 개발한 칩을 많이 묶어 연산력을 끌어올리는’ 방식도 모색하고 있다. 화웨이는 국내 기업들과 협력해 수십만 개의 칩을 묶는 시스템을 개발했으며 일부 지방정부는 국산 칩을 쓰는 데이터센터 전기요금을 보조하는 방식으로 지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승부가 단순히 연산력 규모만으로 결정되지는 않을 가능성도 제기했다. 미국 조지타운대 인공지능안보센터의 헬렌 토너 전략국장은 “기술 개발이 일정 시점에 정체되면 비용 효율과 산업 적용 속도가 판도를 바꿀 수도 있다”고 말했다.
미국 역시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7월 ‘AI 행동 계획’을 발표하고 중국 모델이 공산당 정책 목표에 어떤 영향을 받는지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중국은 직후 ‘AI 플러스’ 전략을 내놓고 제조업, 로봇, 드론 등 실물 산업 전반에 AI 도입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WSJ는 “미국은 성능 중심, 중국은 속도 중심으로 경쟁 구도가 형성됐다”고 분석했다. 기술 향상이 계속된다면 가장 많은 연산 자본을 확보한 쪽이 우위를 이어갈 수 있고, 반대로 기술 발전 속도가 둔화되면 비용 대비 성능과 현장 적용력이 중요한 변수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













![[뉴욕증시] 혼조세 속 나스닥 지수만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1506411400710c35228d2f517519315010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