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란 항공기 사고, 경제 제재가 주원인

글로벌이코노믹

이란 항공기 사고, 경제 제재가 주원인


이란 항공기 사고, 경제 제재가 주원인
- 부품수입 차질로 안전문제 심각 -
- 제재 완화 시 교체수요 매우 커 -



□ 이란, 소형여객기 추락사고 발생

○ 8월 10일(일) 오전, 테헤란에서 이란 세파한 소속 소형 여객기가 추락해 39명이 사망하고 9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최종 집계됨.
- 이란 동부지역 도시인 타바스로 향하던 여객기 안에는 어린이 6명을 포함한 승객 40명과 승무원 8명 등 총 48명이 탑승하고 있었음.

○ 현지 언론은 사고 항공기가 이륙 직후 엔진 정지로 추락했다고 보도했으며 사고기가 떨어진 주거지역에서도 3명 이상이 부상했다고 덧붙임.
- 사고 항공기는 구소련 안토노프 140을 개조해 자체 제작한 소형 여객기로 최대 탑승인원은 52명임.

○ 사고 항공사인 세파한 항공은 이란 혁명수비대가 운영하며 군과 군 가족, 민간인 일부가 이용하는 것으로 알려짐.
- 세파한 항공기가 이륙한 메흐라바드(Mehr Abad) 공항은 주로 국내선 취항 위주로 운용되며 국제선은 이맘 호메이니(Imam Khomeini) 공항이 담당

사고가 난 세파한 항공 IrAn-140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원: 에어라인스(www.airlines.net)

□ 79년 혁명 이후, 항공기 안전문제 심각

○ 1979년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 항공산업에 대한 미국 등 국제사회의 제재가 계속됐지만 대부분의 항공사는 정상운항을 지속함.
- 이란은 최신 항공기를 들여오지 못하며 부품 수입도 여의치 않아 항공기 유지 및 보수에 어려움을 겪어왔음.
- 따라서 러시아산 항공기에 의존해 운항을 계속했으나 대부분이 구 소련 시절에 생산된 것이라 부품을 구하기도 힘든 상황임.

○ 국영 항공사인 이란 항공을 비롯한 주요 항공사 여객기의 평균 사용연수는 22년이 넘는 것으로 분석됨.
- 항공업계에서 이란은 노후화한 여객기 보유와 허술한 관리 등으로 항공기 사고가 잦기로 악명이 높음.

□ 항공기 및 부품 교체수요 매우 커

○ 지난해 11월 타결된 이란과 P5+1 핵협상 합의문에는 P5+1 측이 이란 항공기에 대한 안전점검 서비스 제공 및 부품 공급을 자발적으로 허용하는 내용이 담겨 있음.
- 또한 올해 4월 열린 추가 핵협상에서 양측은 대이란 항공산업 제재 완화를 위한 큰 틀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짐.

○ 이후 세계 최대 항공기 제조사인 보잉은 미국 정부로부터 대이란 민간 항공기 부품 수출 라이선스를 획득했다고 발표하고 구체적인 부품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고 발표함.
- 다만, 획득 라이선스의 범위는 1979년 혁명 이전에 판매된 기종 중 안전을 위해 부품 교체가 필요한 항공기로 제한됨.

○ 올해 5월 초, 이란 민간항공국은 경제 제재가 해제된다면 이란은 400대의 신형 항공기를 구입할 수 있다고 언급함.
- 구체적으로 교체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매년 40대씩 항공기를 구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이며 보잉 및 에어버스 등이 대상이라고 밝힘.

□ 전망 및 시사점

○ 세파한 항공은 추락 사고에서 보듯이 이란 항공기의 노후화는 심각한 수준이며 이는 앞으로 핵협상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 이란 측은 이번 사고를 바탕으로 지속된 경제 제재가 이란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다고 강조하며 핵협상 타결의 근거로 삼을 것이 예상됨.

○ 또한 보잉과 에어버스 등 글로벌 항공사는 제재 완화 후 이란 항공기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더욱 치열한 사전 경쟁을 펼칠 것으로 보임.
- 이란은 연장된 시한인 11월 24일까지 핵 협상을 타결하겠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므로 한국 기업도 제재 이후를 대비해 이란 항공시장 진출을 진지하게 검토할 필요가 있음.


자료원: Fars News, Mehr News, IRNA, Tehran Times, Iran Daily, Kayhan International 및 KOTRA 테헤란무역관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