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전경련국제경영원, 제19회 최고경영자 신춘포럼 개최

글로벌이코노믹

전경련국제경영원, 제19회 최고경영자 신춘포럼 개최

이미지 확대보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성 기자] 전경련국제경영원(IMI)은 16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기업의 생존, 내일을 산다'를 주제로 제19회 2016 IMI 최고경영자 신춘포럼을 개최했다.

기조강연에 나선 이승철 전경련 부회장은 한국 경제상황에 대해 “수출, 내수 부진에 재고율이 상승하는 등 잠재성장률이 지속적인 하락 추세를 띠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부회장은 1980년대 규제개혁, 2000년대 셰일가스 공급을 통해 시장을 창출한 미국의 사례를 들며, 실물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공급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2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 덴마크와 스웨덴의 식품 산업 클러스터 구축, 미국 글로벌 농기업‧협동조합 육성 사례 등을 통해 규모의 경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대형화, 시스템화 기반의 국가 챔피언(National Champion) 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LG경제연구원 신민영 경제연구부문장은 “미국의 성장세가 둔화되고 중국의 경제 성장률이 낮아지는 가운데 금융시장의 불안이 반복되면서 글로벌 경제 성장에 대한 기대가 약화되고 있다”고 세계 경제를 진단했다. 이어 한국은행 김웅 조사국 조사총괄은 “국내 민간소비는 연간 2.4%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의 사회보장성 예산 확충, 재정 조기집행 등으로 소비가 증대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다보스포럼에 참석한 바 있는 카이스트 이상협 교수는 “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디지털, 생물학적 영역의 경계를 불명확하게 하는 융합기술로 우리의 모든 생활방식을 바꿀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대성 기자 kim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