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은행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농협·기업 등 6대 대형은행의 지난달 26일까지 주담대 잔액은 351조177억원이었다. 1월말 350조3836억원보다 6341억원(주택금융공사 모기지론 양도분 제외) 증가했다. 지난해 2월 중가분과 비교해 20% 수준이다. 지난 2014년 2월(1조1792억원)과 2011년 2월(1조5964억원) 증가분보다도 적다.
지난해 주담대가 30조원 넘게 늘어난 것과 비교해 증가세가 주춤했다.
업계에서는 은행의 주담대 소득심사가 까다로워지는 가계부채 관리방안(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의 영향으로 보고 있다. 이 제도는 지난달부터 도입됐으며 목적은 갚을 수 있을 만큼 빌리고 빌리면 나눠서 갚도록 유도해 가계 부채의 질을 개선하려 것에 있다.
지난해 급상승하던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달 86주 만에 하락했다. 최근 공급물량 과잉 논란까지 불거지며 주택 시장 냉각 우려마저 나오고 있다.
한편 주담대 증가세가 완전히 꺾였다고 보는 건 시기상조라는 지적도 있다. 아파트 공급과잉 우려와 연관된 집단대출이 가계부채 관리방안의 분할상환 예외 조항이기 때문이다.
지난해 10월 말 기준으로 신한·KB국민·KEB하나·우리·농협 등 5대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322조346억원에서 아파트 집단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91조7665억원으로 28.5%에 달한다.
박인웅 기자 parkiu7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