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빚더미' 서울 공기업 대표 작년 연봉 최대 1000만원 인상

글로벌이코노믹

'빚더미' 서울 공기업 대표 작년 연봉 최대 1000만원 인상

청렴도·기관평가는 중간 이하…5대 공기업 대표 업무추진비 편차 커
막대한 부채와 평균 이하 기관평가 및 청렴도에도 서울시 5개 공기업 대표들이 '억대' 연봉을 받고 있다. 특히 지난해 어려운 경영 여건에도 대표 연봉이 최대 1000만원까지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서울시가 국회 교통위원회 소속 이노근(새누리당·노원갑)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 서울시설관리공단, 서울농수산식품공사, SH공사 대표 연봉은 모두 1억원이 넘었다.

서울메트로 1억 2500만원, 서울농수산식품공사 1억 2200만원, 서울도시철도공사 1억 2000만원, 서울시설관리공단 1억 1600만원, SH공사 1억 1200만원이다.

서울시 공기업 대표 연봉은 지난해 최대 1000만원 인상됐다.
SH공사와 농수산식품공사가 각각 1000만원씩, 서울도시철도공사 300만원, 서울메트로와 서울시설관리공단은 200만원씩 올랐다.

서울시 공기업 기관평가나 청렴도는 평균 이하에 머물고 있다.

SH공사는 국민권익위원회 청렴도 평가에서 2013년 3등급에 이어 2014년 4등급으로 내려갔고 작년에는 최하등급인 5등급을 기록했다. 청렴도는 1∼5등급으로 매겨진다.

서울시설관리공단은 2013년 3등급에서 2014년 4등급으로 떨어진 이래 개선되지 않고 있다.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는 3등급을 유지하고 있다. 서울농수산식품공사는 지난해 3등급으로 한 계단 올랐다.

지난해 기관평가는 가∼마 중 5대 공기업 모두 다에 그쳤다. 대표평가에서는 도시철도공사가 나, SH공사가 라, 나머지는 다였다.'

서울시 5대 공기업 부채 규모는 2014년 말 기준 21조 6000억원에 달한다.

SH공사 17조 1490억원, 서울메트로 2조 9532억원, 서울도철 1조 2555억원, 서울농수산식품공사 1827억원, 서울시설관리공단 590억원이다.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재임한 공기업 대표 11명의 업무추진비는 개인별로 월 261만원이나 차이가 나는 등 편차가 매우 컸다.

장정우 전 메트로 대표는 월 평균 358만원을 사용해 가장 많았다.

이정원 메트로 대표와 변창흠 SH공사 대표는 각각 월 227만원을 썼다. 김태호 서울도철공사 대표는 월 97만원에 그쳤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