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요르단 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

글로벌이코노믹

요르단 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


요르단 인구 3명 중 1명은 외국인
- 전체 인구의 30.6%를 외국인이 차지 -
- 중동 유혈사태로 인한 난민 유입 탓 커 -



☐ 인구 현황

○ 2015년 11월 30일, 요르단 정부의 전국 인구 총조사(Census) 실시
- 수년간 끊임없이 유입된 시리아 난민 수, 외국인 노동자 수 등을 포함한 전체 인구를 총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요르단 정부에서 주도적으로 실시
- 조사 결과: 총 인구 950만 명, 요르단인 660만 명, 외국인 290만 명으로 집계됨. 외국인 인구 비율은 전체의 30.6%

요르단 인구 인포그래픽(2015년)
이미지 확대보기

자료원: Jordan Times

- 수도 암만의 인구는 총 400만 명으로 집계됐으며, 그 중 36.2%인 145만 명이 외국인으로 집계됨.

요르단 도시별 인구통계(2015년)
(단위: 명, %)
지역명
요르단인
외국인
합계
(요르단인+
외국인)
팔레스타인
시리아
이집트
이라크
기타
소계
Amman
2,554,923
308,091
435,578
390,631
121,893
196,410
1,452,603
4,007,526
Barqa
396,939
17,060
27,982
42,393
1,238
6,097
94,770
491,709
Zarqa
923,652
189,788
175,280
60,225
3,939
11,994
441,226
1,364,878
Madaba
156,787
5,071
14,669
10,788
584
1,293
32,405
189,192
Irbid
1,316,618
33,396
343,479
55,004
1,960
19,701
453,540
1,770,158
Mafraq
314,164
8,405
207,903
16,257
715
2,504
235,784
549,948
Jerash
167,751
53,628
10,868
4,473
52
287
69,308
237,059
Ajloun
157,162
332
14,496
3,695
48
347
18,918
176,080
Karak
272,449
1,442
17,077
19,278
233
6,150
44,180
316,629
Tafilah
90,108
105
1,933
3,857
20
268
6,183
96,291
Ma’an
127,989
668
8,450
5,322
67
1,586
16,093
144,082
Aqaba
135,045
16,196
7,799
24,347
162
4,611
53,115
188,160
전체
6,613,587
634,182
1,265,514
636,270
130,911
251,248
2,918,125
9,531,712
비중
69.39
6.65
13.28
6.68
1.37
2.64
30.61
100.00

자료원: 요르단 통계청(Census)

☐ 요르단은 제2의 인구통합 전쟁 중

○ 요르단 역사는 난민 유입과 함께 해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
- 요르단 인구는 1950년까지만 해도 약 45만 명에 불과
- 이후 팔레스타인, 이라크 등 주변국으로부터 유입된 난민들을 자국민으로 흡수·통합하는 절차를 거쳐 현재 요르단 국적 인구 660만 명에 이름.
- 이러한 과정의 결과로 현재 요르단 국적을 가진 인구는 원주민 대비 유입된 팔레스타인 출신 인구가 4:6 정도의 비율로 더 많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음.

○ 2000년대부터 시작된 이라크, 시리아를 포함한 주변국들의 분란으로 더 많은 인구 유입
- 특히, 2012년 이후 시리아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며 126만 명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됨(요르단 내 전체 인구의 13.28% 차지)
- 유입된 시리아 난민들은 대부분 난민캠프에서 지원을 받으며 지내거나 암만, 이르비드 등 대도시에 머물며 저임금 노동을 제공하며 생활하고 있는 실정
- 요르단 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팔레스타인, 이라크 출신들과는 달리 시리아 난민은 요르단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주고 있으며, 요르단 정부는 국제사회의 원조로 이를 감내하고 있는 상황

○ 제 2의 인구통합 시기 직면
- 시리아 내전이 종료 조짐을 보임에 따라, 요르단 내 시리아 난민들의 거취가 주목되고 있음.
- 1900년대 후반 유입된 팔레스타인 출신 난민들처럼 시리아 난민들이 요르단인으로 흡수 통합될 가능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추정(팔레스타인 난민들은 현재에도 돌아갈 곳이 마땅치 않지만 시리아 난민들은 내전 종료 후 본국 복귀 가능)
- 시리아 난민 중 경제활동 인구 비율은 매우 낮기 때문에 만약 흡수통합이 된다고 하더라도 당분간 요르단 경제가 더욱 어려운 상황에 처할 가능성이 높음.

☐ 시사점

○ 지난 반세기 동안 수많은 난민 유입 사례를 겪으면서 요르단은 사회 통합에 대한 노하우를 어느 정도 가지고 있으며, 국제적으로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음.
- 요르단의 사회 안정성 및 경제 허브로의 이미지 더욱 부각

○ 이러한 난민 유입 및 인구통합이 요르단 경제에 미칠 영향은 아직까지 미지수이나, 요르단 진출 기업 입장에서는 다양한 시각으로 예측 가능하므로 현명한 대처 필요
- 유입된 난민이 요르단에 정착해 본국(시리아, 이라크 등)과의 중계무역 사업을 전개해 요르단 진출 우리 기업에 더 많은 시장 접촉의 기회 제공
- 우선 유입된 난민이 요르단에 잘 정착할 경우 인구 증가로 요르단 시장이 커지는 효과 발생
- 증가된 인구에 따라 관련 인프라(주택, 교통시설, 도로, 학교, 쇼핑몰 등) 확장 사업도 함께 성장할 가능성이 있음.


자료원: Jordan Times, 요르단통계청(Census) 및 KOTRA 암만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