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E 2014’에서 IoT 국제 표준화 및 통신사 역할 강조
[글로벌이코노믹=곽호성 기자] KT 황창규 회장이 사물인터넷(IoT) 시장 조기 활성화를 위해 통신사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황창규 회장은 11일 오전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 2014(Mobile Asia Expo 2014)’에서 ‘연결을 넘어 가치창조, 기가토피아’란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IoT 산업 리딩을 위한 통신사들의 역할과 방향을 제시했다.
지난 5월말 기자간담회에서 융합형 기가토피아 전략 일환으로 IoT 활성화를 강조했던 황창규 회장은 “통신사의 새로운 미래성장 동력으로 주목 받는 IoT 산업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서는 글로벌 표준 정립과 함께 IoT 데이터를 공유하는 허브 역할이 필요하다”며 “기반 인프라를 제공하는 통신사를 중심으로 IoT 서비스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를 창출하자”고 강조했다.
황 회장은 IoT 활성화를 위해서는 ▲표준화 ▲글로벌 IoT 데이터 공유 허브 구축 ▲글로벌 IoT 포럼 구성 등 세 가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보기먼저 사물에 탑재되는 칩셋 규격부터 사물 간 통신 규약까지 다양하게 난립된 규격들을 국제적으로 표준화 해 기업의 개발비용 절감과 함께 고객들이 보다 쉽고 저렴하게 사물인터넷(IoT)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다양한 센서 데이터들의 연결과 공유를 통해 교통, 보안, 환경 등 사회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는 ‘글로벌 IoT 데이터 공유 허브’ 구축도 제안했다.
아울러 황창규 회장은 “IoT 시대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뿐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들과도 협력이 필요하다”며, IoT 산업의 협력의 장을 마련하여 공통된 비전과 표준기술, 그리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포럼(IoT Eco Forum) 출범을 제안했다.
IoT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물들의 상태를 수집-분석-융합하여 지능화된 정보로 다양한 목적의 의사결정과 각종 제어를 지원하는 기술이다. 사물인터넷은 새로운 산업을 일으켜 창조경제를 견인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황창규 회장은 “센서 기술의 발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대, 기가급 모바일 브로드밴드 확산,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분석 등 혁신적인 기술 발전으로 더 스마트한 IoT 세상이 오고 있다”며 “ICT 기술을 보유한 통신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KT 황창규 회장은 “기가토피아를 향한 KT의 도전은 우리 모두의 과제로 모든 것이 연결된 IoT 세상에서는 어느 누구도 혼자서 모든 것을 이룰 수 없다”며, “서로 간의 협력을 통해 공동 번영을 위한 IoT 르네상스를 꽃피우자”고 말하고 기조연설을 마쳤다.
황창규 회장은 MAE 행사에 앞서 10일(화) 진행된 아시아 CEO 라운드 테이블과 GSMA 보드 미팅에 참석했고 차이나모바일, 텔레콤이탈리아 등 글로벌 통신사 CEO들과 만나 KT의 융합형 기가토피아 전략을 소개하고 통신사업자의 미래를 위한 적극적 협력 문제를 논의했다.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3일 만에 반락...전 거래일 대비 이익 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KRX금현물] 3거래일 연속 하락...3.35% 급락 1g당 18만2830원 마...](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816235909718edf69f862c121636132.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