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ETRI, 5G 데이터 트래픽 폭증 해결사 '광통신기술' 개발

글로벌이코노믹

ETRI, 5G 데이터 트래픽 폭증 해결사 '광통신기술' 개발

세계 최소형 80km 범위 통신망·기존의 2배인 200Gbps 데이터 전송 광트랜시버 개발
기존 대비 전송 용량 2배 ↑, 전력소모 1.5배↓, 면적 4배 ↓
초고속-대용량 광통신 핵심 기술로 중소기업과 협업 박차
ETRI 연구진과 네온포토닉스가 공동 개발에 성공한 400Gps 광 송·수신기의 전송 성능을 분석하고 있다. 사진 왼쪽로부터 이정찬 ETRI 책임연구원, 염주빈 네온포토닉스 선임연구원, 이은구 네온포토닉스 연구소장. 사진=ETRI이미지 확대보기
ETRI 연구진과 네온포토닉스가 공동 개발에 성공한 400Gps 광 송·수신기의 전송 성능을 분석하고 있다. 사진 왼쪽로부터 이정찬 ETRI 책임연구원, 염주빈 네온포토닉스 선임연구원, 이은구 네온포토닉스 연구소장. 사진=ETRI
국내 연구진이 5G 상용화 등에 따라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문제를 해결해 줄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네온포토닉스와 공동으로 모바일 백홀망과 소형 메트로망에서 1초에 200G비트(200Gbps,1Gb=10억비트)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세계 최소형 광 트랜시버 관련 기술을 개발했다고 26일 밝혔다.

그동안 백홀망(전화국사)과 소형 메트로망(시(市)단위 내부 연결)에는 주로 단위 모듈당 100Gbps 데이터 전송이 이뤄졌다. ETRI는 빛의 세기를 바꾸는 변조방식을 채택했다. 즉 한 번에 1비트씩 보내는 기존의 2단 변조(NRZ) 방식 대신 한 번에 2비트씩 보내는 4단 고차변조(PAM-4) 방식을 채택, 전송용량을 크게 늘렸다.

연구진은 기존 포털 업체의 데이터센터 내부 10km 이내에서만 사용되던 PAM-4 변조 방식을 80km 구간까지 확장해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런 성과에는 1550 나노미터(nm) 대역의 고밀도 파장(DWDM) 광신호를 다중화할 수 있는 독창적 구조의 광송신기 집적화 기술과 세계 최고 수준의 신호 품질 복구 성능을 갖는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이 핵심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전송 용량을 2배 늘려 1초에 200기가를 보낼 수 있다.
ETRI 연구진이 개발한 200Gbps 광트랜시버 모습. 중앙 금색부분이 200Gbps 광트랜시버으로서 향후 전화국사 내부 전송 장비에 탑재될 예정이다. 사진=ETRI이미지 확대보기
ETRI 연구진이 개발한 200Gbps 광트랜시버 모습. 중앙 금색부분이 200Gbps 광트랜시버으로서 향후 전화국사 내부 전송 장비에 탑재될 예정이다. 사진=ETRI
연구진은 이 기술과 관련된 요소 기술로 50Gbps 실리콘 변조기, 50Gbps 프론트홀 광 트랜시버도 개발했다. 실리콘 변조기는 국내 파운드리와 협력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내는데 성공했다. 50Gbps 프론트홀 광 트랜시버는 일반 사용자가 가장 많이 쓰는 통신망으로 5G 이후 통신 시장을 대비할 인프라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진은 현재 400Gps 속도를 내기 위해 필요한 요소 기술로 광 송·수신기 개발을 완료했으며 신호처리 기술의 경우, 네온포토닉스로의 기술 이전을 앞두고 있다. 이를 활용해 ETRI와 네온포토닉스는 향후 데이터센터 내부 약 2km 범위 통신망에 사용되는 400Gps 광 트랜시버를 1초에 400기가 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성능으로 공동 개발해 통신 기술의 완성도를 높일 계획이다.

연구진의 기술을 종합해 적용하면 통신장비의 전력 및 비용 문제도 개선할 수 있다. 기존 방식 대비 소모전력이 1.5배 낮고 밀도도 4배 높아 장비 투자 비용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파장, 온도 변화에도 덜 민감하고 제작 공정도 단순해 내년 상반기 상용화가 가능할 전망이다.

연구진은 이 기술로 진정한 5G 시대를 체감할 수 있는 계기를 열고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스마트 팩토리 기술, 원격의료, 글로벌 네트워킹의 초석을 다지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선미 ETRI 네트워크연구본부장은 "이 기술은 초고속 대용량 광연결을 이루는 핵심 기술이다"라며 "고품질 영상, 초실감 미디어 서비스 등에 필요한 광 인프라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해 향후 테라비트 속도의 빛으로 연결되는 초실감 인터넷 시대의 주역이 되겠다"고 말했다.


홍정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oodlif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