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T클라우드, AI·클라우드·IDC 비즈니스 가치 실현 방안 논의

글로벌이코노믹

KT클라우드, AI·클라우드·IDC 비즈니스 가치 실현 방안 논의

'KT클라우드 서밋' 18일 개최
이미지 확대보기
KT클라우드가 18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KT클라우드 서밋 2023'을 열고 국내 AI와 클라우드 IDC(Internet Data Center) 업계 관계자·전문가와 디지털 비즈니스 가치 실현을 위한 지속 가능한 기술과 생태계 성장 비전을 확인했다.

이날 행사에는 국내외 대기업, IT 전문기업, 스타트업, 한국정보사회진흥원(NIA) 등 관련 공공 기관, DX 비즈니스 추진 기업의 대표 및 주요 인사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번 서밋은 '디지털 비즈니스 혁신을 위한 AI, 클라우드, IDC 산업'을 주제로 산업 동향과 기술, 전략 공유를 위한 3개의 키노트와 총 3개 트랙 30개 전문 분야의 세션, 업계 최신 기술과 서비스 전시가 함께 진행됐다. 오전에는 윤동식 KT클라우드 대표의 환영사를 시작으로 윤 대표와 황종성 NIA 원장, 배순민 KT 융합기술원 AI2XL연구소장의 키노트가 이어졌다.

윤동식 대표는 키노트에서 초거대 AI 시대 한국 기업 경쟁력 기반의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과 디지털 재난 대비 및 비즈니스 연속성을 위해 필요한 핵심 요소는 AI, 클라우드, IDC라고 강조했다.
이어 황종성 원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 핵심 인프라: 클라우드 정부 정책과 방향'을 소개했다. 올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추진하고 있는 '공공·민간 부문 클라우드 전환'과 'K-클라우드 프로젝트', 'SaaS 중심 SW산업 재설계' 등 정책과 업계 상생 방안, NIA의 계획 등에 대해 공유했다.

배순민 소장은 초거대 AI의 대중화를 이끈 챗GPT의 등장 이후 클라우드 사업자들은 경쟁적으로 초거대 AI 모델을 자사 플랫폼으로 유치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초거대 AI 모델은 이미 그 자체로도 파급력을 가지는 인프라·플랫폼의 성격을 가지며 클라우드 시장의 성장을 리딩할 것으로 예상했다.

오후에는 AI, 클라우드, IDC 분야 3개 트랙, 총 30개 세션에서 AI, IDC, 공공, SaaS, DaaS, DR, DX 을 주제로 발표가 이어졌다. KT클라우드뿐 아니라 각 분야 전문 기업의 임원 등 대표자가 직접 연사로 나섰다.

KT클라우드 전시 부스에서는 △초거대 AI 모델 개발을 위해 대규모 GPU 자원을 종량제 방식으로 제공하는 HAC △기업이 원하는 다양한 유형의 안정적인 백업 환경을 소개하는 DR 서비스 △가상 데스크톱과 앱을 통해 유연한 근무환경을 제공하는 DaaS 서비스가 관심을 모았다.

이 밖에 △AMD는 AI, 클라우드 솔루션에 최적화된 고성능 인프라를 소개했으며 △메가존클라우드 매니지드 서비스와 AI 플랫폼 △디딤365는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을 전시했다. 또 △인텔, 레노버, 델 등 글로벌 기업들은 클라우드 도입에 필요한 스토리지와 솔루션을 △HPE-베이넥스, 베리타스는 재해복구 솔루션을 시연했다. △IDC 분야에서 삼화에이스는 ESG 관련 기술과 자다라의 글로벌 로케이션 서비스가 전시됐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