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에이닷·사피온 등 AI 기반 기술 소개
KT, 로봇·네트워크 등 기업 대상 서비스 시연
KT, 로봇·네트워크 등 기업 대상 서비스 시연

SKT는 이번 전시에서 AI를 상징하는 'AI & I'라는 테마로 코딩 언어를 형상화한 디자인의 870㎡ 규모 전시관을 운영한다.
SKT 전시관은 입구부터 눈길을 사로잡는 '에이닷(A.)' 마스코트가 관람객을 맞이하고 퀴즈쇼 이벤트를 통해 일상을 편리하게 만들어주는 AI 활용사례들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또 관람객들은 안내요원의 설명을 들으며 에이닷이 제공하는 기억 기반 대화, 통화내용 요약, 이미지와 음성을 인식하는 멀티모달 기능 등을 체험할 수 있다.
이 밖에 △사람과 사물을 지능적으로 포착하는 AI 카메라 △음성으로 인포테인먼트부터 차량 제어까지 가능한 차량용 AI '누구 오토' △저전력·고성능 AI 반도체 '사피온 X220'과 △AI를 기반으로 에너지를 관리하는 가상발전소 기술 등 산업에 적용된 다양한 AI 기술 시연도 함께 볼 수 있다. 또 △반려동물의 엑스레이 사진을 분석해 진단 결과를 15초 내에 제공해 수의사의 진료를 돕는 '엑스칼리버'도 소개한다.
전시관 안쪽 실물 사이즈의 '도심항공교통'(UAM) 가상 체험 시뮬레이터가 설치된 공간은 관람객들에게 차별화된 즐거움을 선사할 것으로 기대된다.
SKT는 독점 파트너십을 체결한 세계적인 UAM 기체 선도 기업 '조비 에비에이션'의 실물 사이즈의 UAM 모형 기체와 가상 체험 시뮬레이터를 결합해 이번 전시에 선보인다. 관람객들은 VR 기기를 착용하고 시뮬레이터에 탑승해 2030년의 서울과 부산을 비행하며 연계교통, 배터리 충전, 인포테인먼트 등 서비스를 생생하게 경험하게 된다.
SKT는 이번 전시에서 AI 스타트업 투아트와 함께 시각장애인의 일상을 돕는 배리어프리 서비스 체험 프로그램도 진행한다. 관람객은 'GSMA 글로벌 모바일 어워드'에 입상한 시각보조 서비스 '설리번플러스'를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다. 관람객은 시각을 차단한 채로 음성 안내를 통해 주변 사물을 인식하는 체험에 참가할 수 있다. 음성 안내는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해 사람, 글자, 사물 색상 등을 인식해 제공된다.
이와 함께 SKT는 다수의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고령자나 중증질환이 있는 환자들의 돌봄을 위해 제공 중인 AI 돌봄 서비스에 대해 설명하고, 다양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사례들에 대해 소개하는 공간도 마련했다.

KT는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드는 DX 개척자 KT'를 주제로 부스를 마련한다.
KT 전시 부스는 AI, 로봇, 네트워크 3가지 존으로 구성된다. 전시관 입구에서는 '대형 미디어 아트'가 먼저 안내한다. AI 존에는 KT의 '초거대 AI 믿:음' 소개 영상을 비롯해 개방형 AI 연구개발 포털 '지니랩스'가 전시된다. 지니랩스에 공개된 다양한 API 중 이미지와 영상을 분석하는 '비전 AI' 기술을 체험해 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관람객들의 지니랩스 활용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또 기업고객 누구나 간편하게 AICC의 셀프 가입과 구축, 상담을 할 수 있는 스마트한 클라우드 컨택센터 'KT 에이센 클라우드(KT A’Cen Cloud)'의 체험 공간이 마련된다.
로봇 존에서 이기종 로봇 서비스를 통합하는 플랫폼인 '로봇 메이커스'와 전시관 현장을 자동으로 돌아다니는 ‘실내로봇’ 및 ‘서비스로봇’과 냉·온장 상태로 배송이 가능한 '배송로봇'을 만날 수 있다. 네트워크 존에는 서울대와 공동 개발한 ‘지능형 반사 표면(RIS)’ 기술과 5G 서비스 속도 향상을 위한 CA 기술, 일체형 안테나 등을 활용한 품질 향상 기술들을 선보인다.
이 밖에 KT는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VI)와 교통·신호 최적화를 해주는 지능형 교통체계(ITS) 기능이 탑재된 포드 차량 2대를 전시한다. 또 AI 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최적의 운송경로를 제공하는 '리스포(LIS'FO)'와 AI를 토대로 물류센터 운영의 효율성을 높인 솔루션 '리스코(LIS’CO)'를 비롯해 화주와 차주를 실시간으로 매칭하는 플랫폼 '브로캐리'를 함께 소개한다.
KT그룹사에서는 이니텍(INITECH)과 KT DS가 참여해 각각 ‘이니허브(인증통합플랫폼)’과 ‘S-PASS(작업장 안전관리 솔루션)’, ‘비스트(API 관리솔루션)’ 서비스들을 소개한다.
여용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dd093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