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국회 여성가족위 소속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지난해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해소 전문기관인 '스마트쉼센터'에 스마트폰 과의존을 상담한 건수만 5만6562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이는 2018년 4만4206건에서 약 28% 늘어난 수치다. 지난 5년간 전체 스마트폰 과의존 상담 건수는 총 23만3277건이었다.
연령별로는 10대가 15만1498건으로 전체 상담 건수의 62%를 차지했다. 뒤를 이어 10대 이하(2만9806건), 20대(2만5839건), 30대(1만3126건) 순이었다.
10대 이하 스마트폰 과의존 상담 건수는 2018년 3421건에서 2022년 7971건으로 약 133% 늘었다. 이 중 10대 이하 여아는 2018년 1344건에서 2022년 4173건으로 210.5% 급증했다. 10대 이하 남아도 같은 기간 약 82.9%나 늘었다.
10대들의 상담 건수는 2018년 2만7811건에서 2022년 3만5854건으로 약 28.9%나 늘었다.
반면, 20대의 경우 같은 기간 5701건에서 5287건으로 7.3% 줄었다. 50대 이상은 1601건에서 1462건으로 약 8.7%나 감소했다.
신현영 의원은 "10대 전후 성장기의 경우 스마트폰에 대한 과의존으로 언어능력이나 사고력, 이해력의 발달이 저하되거나 지연될 수 있다"며 "스마트폰 과의존이 앞으로 점점 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김희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euyil@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