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대 규모 산업공학과 경영과학 학회 주최 혁신사례상
KAIST-다임리서치 공동연구 성과, 디지털 트윈 기반 기술
대규모 로봇 운영 최적화 자동화 설계 기술 상용화
KAIST-다임리서치 공동연구 성과, 디지털 트윈 기반 기술
대규모 로봇 운영 최적화 자동화 설계 기술 상용화

장영재 교수-다임리서치 공동연구팀은 아마존과 카이저 퍼머넌트, 스코티아 은행 등 세계 유수의 기업들과 경합을 벌여 2위를 차지했다. 포드 자동차그룹이 1위를 차지했으며 MIT-암스텔담 대학 연합팀이 3위를 차지했다.
공동연구팀이 발표한 수상작은 '디지털 트윈과 강화학습을 활용한 자율제조(The Autonomous Factory with Digital Twin and Reinforcement Learning for Intelligent Operations and Efficiency)'로, 디지털 트윈 및 AI 기반 자율 운영 기술의 산업적 실현 가능성과 우수성을 높이 평가받았다.
인폼스(INFORMS)는 산업공학 및 경영과학 분야에서 세계 최대 규모의 학술 조직으로, 매년 실제 산업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된 분석 및 혁신 기술을 조명하는 인폼스 애널리틱스 컨퍼런스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컨퍼런스는 4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열렸으며, 올해는 전 세계에서 약 40개 팀이 참여해 경합을 벌였으며, 그 중 최종 6개 팀만이 본선 발표에 초청되었다.

장영재 대표는 "이번 수상은 KAIST가 주도하는 AI 자율제조 기술이 세계 무대에서도 그 기술력과 혁신성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크다. 특히, 디지털 트윈과 시뮬레이션 기반의 공장 설계 및 자율운영 기술이 큰 관심을 끌었다"고 말했다. 이어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는 현시점에서 제조의 중요성이 다시금 부각되고 있다. AI를 제조 산업에 융합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AI 자율제조' 기술이 국제적으로 인정받게 되어 기쁘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다임리서치는 2020년 장영재 교수가 그의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공동 창업한 딥테크 스타트업으로, AI 자율 제조 기술을 전문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최근 첨단 제조 현장에서는 수십 대에서 수천 대에 이르는 로봇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AI 기반 통합 운영 시스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다임리서치는 이를 지원하고 있다. 자체 개발한 강화학습 기반 시뮬레이션 엔진과 로봇 통합 운영 플랫폼인 xMS 솔루션을 통해 대규모 공장 및 물류창고의 로봇을 최적화된 방식으로 제어하고 있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