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지유의 N잡탐구] 정부 "300만원 받고 지방 가" vs Z세대 "연봉 8000주면 갈게"

글로벌이코노믹

[김지유의 N잡탐구] 정부 "300만원 받고 지방 가" vs Z세대 "연봉 8000주면 갈게"

Z세대, 지방 취업 여전히 부정적
구직자 63% "지방 취업 의향 없어"
셋 중 1명은 "연봉 8000" 희망
지방 취업 위한 새로운 전략 필요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3%가 '지방 취업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미지=진학사 캐치이미지 확대보기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구직자 275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63%가 '지방 취업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미지=진학사 캐치
"생활 인프라도 없고, 친구도 없고, 커리어도 불투명한데 왜 가야 하죠?"

정부는 지방 중소기업 취업 시 최대 300만 원의 장려금을 약속하고 있으나, Z세대가 지방으로 눈을 돌리게 하려면 그보다 훨씬 더 큰 '조건'이 필요해 보인다. 구직자 세 명 중 한 명은 '지방이라면 연봉 8000만 원 이상은 줘야 갈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인다.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27일 발표한 구직자 2754명을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3%는 '지방 취업 의향이 없다'고 답했다. 이 중 20대 응답자만 따지면 89%에 달해, 지방 기피 현상이 Z세대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흐름은 2023년 동일 기관이 수도권 주요 대학 출신 구직자 1743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와도 유사하다. 당시에도 응답자 약 70%가 '지방 취업을 고려하지 않는다'고 밝혔고, '지방에서 일할 수 있는 연봉'으로 가장 많이 선택된 금액 역시 '8000만 원 이상'(30%)이었다. 지난 2년간 지방 일자리를 둘러싼 인식과 구조가 이어지는 모양새다.
Z세대가 지방 취업을 꺼리는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5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 '가족·지인과 멀어져서'(20%), '타지 생활에 대한 불안감'(13%) 순으로 나타났다. 단순 물리적 거리감이 아니라 지리적 불편함과 문화적 소외감이 결합된 복합적 요인으로 해석된다.

반면 지방 취업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37%는 '취업 경쟁이 덜할 것 같아서'(29%), '가족·지인과 가까워서'(21%), '희망 직무가 지방에 있어서'(17%) 등을 이유로 들었다.

Z세대가 지방 취업을 꺼리는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5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미지=챗GPT이미지 확대보기
Z세대가 지방 취업을 꺼리는 이유로는 '주거·생활·교육 인프라 부족'(55%)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미지=챗GPT

취업 가능 지역에 대한 질문에서도 수도권 집중 경향이 뚜렷했다. 복수 응답 기준 '서울 내'가 58%, '판교·수원·인천 등 수도권'이 52%였으며, '중부권(대전·세종·강원)'은 17%, '남부권(부산·대구 등)'은 10%, '도서지역(제주 등)'은 단 3%에 그쳤다.

정부는 이러한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해 현재 지방 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에게 '최대 300만 원의 청년 취업 장려금'을 제공하고 있으며, 면접 교통비와 정장 대여 등을 포함한 면접 지원금도 연 최대 250만 원까지 지급 중이다. 아울러 디지털 산업 분야 인재 유치를 위한 인건비 지원과 우대 채용 정책도 병행하고 있으나 '서울에서만 살겠다'는 Z세대의 선택과 '지역 균형 발전'을 외치는 정책 사이에는 여전히 간극이 존재한다.

Z세대가 생활 여건과 커리어 기회, 워라밸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끝에 '합리적 회피'를 택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연봉 8000만 원'은 단순 기대치나 거절을 위한 명분이 아니라 지방 근무 시 가족·친구와 멀어지고 물리적 인프라도 부족한 것에 대해 요구하는 실질 마지노선이다.

실제 2023년 조사에서는 '지방 대기업과 서울 중소기업에 모두 합격할 경우 어디를 선택하겠느냐'는 질문에 59%가 '지방 대기업'을 선택했다. 이는 지방을 무조건 기피하는 것이 아니라, 연봉과 커리어 조건이 충족된다면 선택 가능하다는 태도임을 보여준다.

김정현 진학사 캐치 부문장은 "지방 취업을 꺼리는 데에는 인프라나 기회의 격차라는 우려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며 "기업이 보유한 강점을 전략적으로 전달하면, 지방 기업도 충분히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단기 유인에 머물렀던 정부의 장려금 정책을 넘어, 이제는 지방에서의 삶과 커리어를 동시에 설계해 보여줄 수 있는 기업 차원의 장기적 리브랜딩 전략이 요구된다.


김지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ainmain@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