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이건희별세]이건희 회장 타계…이재용 승계는 언제?

공유
0

[이건희별세]이건희 회장 타계…이재용 승계는 언제?

이재용, 선친 쓰러진 후 변화·안정 조화 통해 경영능력 입증
승계 위해 ‘10조원’에 달하는 막대한 규모의 상속세 해결해야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993년 독일 프랑트푸르트에서 신(新)경영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고(故)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1993년 독일 프랑트푸르트에서 신(新)경영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25일 숙환으로 타계하면서 삼성그룹 승계 문제가 최대 화두로 떠올랐다.

고(故) 이 회장의 뒤를 이어 아들 이재용(52) 부회장이 회장으로 승계하는 작업이 남았기 때문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12년 12월 44세 나이에 부회장으로 승진한 후 본격적으로 경영 행보를 확대했다.

특히 2014년 고(故) 이 회장이 쓰러진 뒤 6년 넘도록 삼성의 총수 역할을 수행하며 글로벌 경영인의 능력을 대내외에 입증했다.

◇경영능력 입증한 이재용, 승계는 언제?


이 부회장은 그동안 변화와 안정의 절묘한 조화를 통해 업적을 나타내며 경영능력을 증명했다.

재계는 2018년 삼성의 연말 인사의 ‘폭’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하지만 예상보다 인사 폭은 적었다. 이 부회장은 미·중 무역분쟁, 반도체 시장 침체 등 불확실성 속에서도 ‘물갈이 인사’보다 현재의 3인 부문장(김기남 디바이스솔루션(DS·반도체) 부문장(부회장), 김현석 CE(소비자가전)부문장(사장) , 고동진 IM(휴대폰 등 모바일과 정보기술(IT) 부문장(사장) 체제를 유지해 안정을 택했다.

이를 통해 이 부회장은 2018년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에서 사상 최고의 영업이익 신기록을 기록하며 24년 만에 미국 반도체업체 인텔을 제치고 전 세계 반도체 업계 1위에 오르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이 부회장은 시스템 반도체 부문 역시 2030년 세계 1위 기업 등극을 목표로 점유율을 끌어올리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부회장은 지난 2016년 11월 80억 달러(약 9조원)를 투입해 미국 전장(電裝·전자장비)부품 업체 하만(Harman)을 인수하는 등 과감한 인수합병(M&A)으로 새 성장동력 확보에도 총력을 다했다. 9조원은 당시 삼성전자 M&A 사상 최대 규모였다.

이 때문에 재계에서는 이 부회장이 와병중인 선친을 대신해 지난 6년간 보여준 성과와 상징성 등을 고려할 때 회장 자리에 올라도 충분하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삼성전자 관계자는 “아직은 이 부회장 승계 문제를 거론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말을 아꼈다.

이재용 부회장(오른쪽)이 지난 20~21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있는 삼성 복합단지를 찾아 스마트폰 생산공장 등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부회장(오른쪽)이 지난 20~21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있는 삼성 복합단지를 찾아 스마트폰 생산공장 등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삼성전자

◇이재용. 회장 승계하려면 천문학적 상속세 벽 넘어야

이 부회장이 회장 자리에 오르기 위해선 지배구조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고 이 회장이 보유중인 막대한 규모의 삼성 주식을 물려받으려면 엄청난 상속세를 지불해야 하기 때문이다.

재계에 따르면 이 회장이 지니고 있던 삼성그룹 주식은 시가로 18조 원에 달한다. 내용을 살펴보면 삼성전자 보통주 4.18%, 삼성전자 우선주 0.08%, 삼성생명 20.76%, 삼성물산 2.90%, 삼성SDS 0.01%, 삼성라이온즈 2.50% 등이다.

삼성 오너 일가는 이 부회장이 지닌 삼성물산 주식 17.48%에다가 그외 가족들이 보유한 14.12%를 합쳐 삼성물산 경영권을 쥐고 있다. 이를 통해 ‘이 부회장→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삼성 지배구조를 유지해올 수 있었다.

하지만 이 회장이 별세함에 따라 그가 보유 중이던 주식에는 막대한 상속세가 부과될 것으로 보인다. 65%에 달하는 현행법상 최고 실제 상속세율을 고려할 때 삼성 오너 일가는 약 10조원 내외의 상속세를 내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017년 ‘국정농단’ 사건으로 구속 수감된 이후부터 ‘무보수 경영’을 펼쳐오고 있는 이 부회장이 10조원이라는 막대한 상속세를 감당하기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한 이 부회장은 삼성 오너일가가 보유한 삼성생명 주식 57.25% 중 20.76%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지배구조를 손질해야 하는 부담도 안게 됐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삼성이 또다시 경영권 방어를 위해 지배구조를 손대려고 한다‘는 비판 여론이 일 수 있어 조심스러워 하는 모습이다.

재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미·중 무역분쟁,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전 세계 악재에서 어닝 서프라이즈(실적 호조)을 일궈온 점은 대다수 주주들이 높이 평가하는 대목"이라며 "이 부회장이 지금까지 보여준 경영 능력을 바탕으로 다른 주주들의 지지를 얻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만학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h38@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