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대한전선 나형균號, 美 전력기업으로부터 420억 사업 따내

글로벌이코노믹

대한전선 나형균號, 美 전력기업으로부터 420억 사업 따내

올해 4월부터 미국서 10건 이상 수주...연간 누계 1900억 원 달성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투자에 따른 전력망 수요 증가로, 수주 기회 확보
대미 케이블 수주 역량 꾸준히 뽐내
나형균 대한전선 사장. 사진=대한전선이미지 확대보기
나형균 대한전선 사장. 사진=대한전선
케이블(전선) 제조업체 대한전선(대표 나형균)이 미국 전력기업으로부터 대규모 물량을 따냈다.

대한전선은 미국 캘리포니아 전력 기업으로부터 420억 원 규모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를 수주했다고 8일 밝혔다.

미국은 오는 2028년 로스앤젤레스(LA)올림픽 등으로 급증하게 될 전력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 LA 지역에 275kV급 초고압 지중 전력망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대한전선은 이 대규모 사업에 필요한 케이블을 공급한다.

이번 프로젝트를 포함해 대한전선은 올해 미국에서 1900억 원의 수주를 확보했다. 특히 지난 4월 이후 캘리포니아주(州), 플로리다주, 뉴욕주 등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10건 이상 수주하며 미국 내 주요 공급업체로 자리매김했다.
69~275kV 초고압케이블부터 중저압, 가공선까지 다양한 품목을 수주해 대한전선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장했다는 평가도 받고 있다.

미국의 전력 인프라 수요는 노후 전력망 교체와 신재생 에너지 확충에 따라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미국 상원을 통과한 조 바이든 정부의 1조2000억 달러(약 1400조 원) 인프라 투자 예산안에 730억 달러(약 85조 원) 규모의 전력망 개선안이 포함돼 전력 인프라 수요가 더 커질 전망이다.

대한전선은 미국 전력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앞으로도 사업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대한전선 주력제품 초고압케이블부터 오는 2022년 생산될 광통신 케이블, 해저 케이블까지 수출 품목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미국과 캐나다 등 미주 본부를 중심으로 미국 동·서부 지사가 사전 마케팅 활동과 기술 지원을 통해 고객 맞춤 솔루션을 제공한 것이 사업 수주 성공의 배경”이라며 “탄탄한 네트워크와 영업력을 기반으로 주요 공급자의 입지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바이든 정부의 인프라 부양책으로 산업 전반에 전력망 수요 증가가 예상돼 향후 사업 수주를 더 넓히게 됐다"고 강조했다.

한편 한국무역협회(KITA)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으로 수출된 국내 초고압 케이블 전체 물량 중 85%는 대한전선이 공급했다. 2019년에는 79%, 2018년에는 98% 공급율을 기록해 미국내 케이블 판매량을 계속 늘리고 있는 모습이다.


남지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aini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