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S 소비자들의 새로운 요구 충족"
"충전기 미지급으로 많은 탄소 절감"
"충전기 미지급으로 많은 탄소 절감"

노 사장은 7일 국회에서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 대상으로 이뤄지는 국정감사(국감)에 증인으로 출석했다.
7일 재계에 따르면 당초 노 사장은 증인 명단에 없었으나 최종 조율 과정에서 추가된 것으로 알려졌다.
국회 정무위원회(정무위)는 노 사장에 대한 증인 신청 사유로 '▲GOS 사태 등 공정거래법 위반 ▲반도체 수율 허위 조작 ▲세탁기 파손 등 소비자 피해 무상 수리'를 들었다.
지난해 국감에서도 노 사장은 반도체 질의를 다수 받기도 했다. 당시 노 사장은 사업 분야별로 대표가 있고 타 사업부 내용은 알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7일 국감에서도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반도체 관련 조작에 대해 질의했다. 이에 노 사장은 자신은 입사 이래로 모바일 사업만 담당했다며 알 수 없는 내용이라고 답변했다.
박 의원은 "(반도체 질의를 하기 위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을 증인으로 불렀는데 노태문 사장이 나왔다"며 이재용 부회장이 불출석하고 무관한 노 사장이 출석한 것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했다.
이어 박 위원은 GOS 의무적용에 대해 일부 게임만 적용된다는 삼성전자 설명에 대해 게임 이름들을 열거하며 일부가 아니라고 지적했다. 박 위원은 "삼성전자가 '소비자 안전과는 타협이 없다'고 말한지 3주 만에 방침을 바꾸고 하드웨어 설계 강화를 해야 한다는 내부 의견을 묵살하고 원가절감에 치중했다"며 노 사장을 질타했다.
GOS 논란이 일었던 당시 삼성전자는 GOS는 안전 관련 문제로 타협할 수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가 결국 성능 우선 옵션을 제공하겠다고 번복했다.
박 위원은 "삼성전자 GOS사태는 원가절감을 위한 무리한 소비자 기만이며 합당한 소비자 보상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라며 성토했다. 박 위원은 이 문제로 삼성전자 주가가 5만 전자로 하락하고 주주들의 불만이 컸다고 말하자 노 사장은 "잘못된 내용이다. 해당 사안은 주가 등락과 무관하다"며 선을 그었다.
이어 노 사장은 "GOS는 오랜 시간 게임을 안정적으로 즐기기 위한 서비스로 소비자들의 새로운 요구였다"며 "업데이트 이후 많은 불만이 해소됐다"고 해명했다.
또한, 박 위원은 스마트폰 충전기를 국내 미지급 관련해서 해외엔 지급하는 것은 내수 차별이라며 애플 배터리 할인과 같이 정당한 보상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 사장은 "타사 정책은 알 수 없으며 (충전기 미지급으로) 많은 부분이 탄소 절감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날 국감에선 박 의원의 일방적인 질의와 비판으로 노 사장은 대부분 답변을 끝까지 하지 못했다. 노 사장은 '이에 대답하라'는 박 의원의 재촉에 연신 대답하겠다고 말했지만, 답변 중간에 말이 끊겨 제대로 된 해명과 설명을 못 한 채로 질의시간은 끝났다.
한편, GOS 사태는 올 초 삼성전자 갤럭시S22의 GOS 문제로 공정위가 조사를 진행 중인 사건이다. GOS는 고성능 연산이 필요한 게임 애플리케이션(앱)을 실행 시 발생하는 과열을 방지하고자 성능을 강제로 낮추는 기능이다.
갤럭시S7 출시 때부터 적용된 기능이지만 그동안 사용자들은 외부 앱 설치로 비활성화할 수 있었지만 갤럭시S22 시리즈부터 의무화돼 비판을 받았다.
소비자들이 1000명 이상 집단소송을 제기하는 등 거센 반발을 하자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은 머리 숙여 사과했다.
정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earl99@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