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창간특집] 범산업계 차원 ‘자율운항선박 슈퍼 드림팀’ 구축 필요

공유
0

[창간특집] 범산업계 차원 ‘자율운항선박 슈퍼 드림팀’ 구축 필요

기술 진화로 가치망 범위 확대, 우수기업 신규 참여 유도 시급
정부의 법‧제도 개선 노력 환영, 산업 조기 안착 위해 속도 내야

삼성중공업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원격자율운항 시스템 'SAS'를 탑재한 300t급 예인선이 지난 2020년 10월 거제조선소 인근 해상에서 장애물을 회피하며 자율운항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이미지 확대보기
삼성중공업이 독자 기술로 개발한 원격자율운항 시스템 'SAS'를 탑재한 300t급 예인선이 지난 2020년 10월 거제조선소 인근 해상에서 장애물을 회피하며 자율운항을 하고 있다. 사진=삼성중공업
전통적인 제조산업으로 분류되는 조선산업이 자율운항선박으로 대변되는 지능형 선박으로 진화해 세계 시장을 지배하려면 ‘슈퍼 드림팀’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다양한 분야의 기업이 협업한 생태계 조성이 필수 조건이라는 것이다.

또한 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정부가 진행하고 있는 법‧제도의 개정 노력도 기술 진화 속도에 맞춰져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3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자율운항선박은 전통적인 조선 건조, 기자재‧부품 기술 외에도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등의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해야 한다. 또한 전기 추진을 비롯해 신재생에너지 연료 추진 선박 기술과도 연동된다. 이에 따라 조선산업과 정보통신기술(ICT) 산업,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 산업, 연료전지와 전기 배터리, 전자·전기 산업 업계는 물론 금융산업 등과도 협업이 중요하다.

그러나 다수의 첨단 디지털 기술 기업은 조선산업과 거리를 두어온 탓에 관심은 많지만, 자율운항 기술 부문 참여를 머뭇거리고 있다. 이는 미래 선박 시장을 주도하겠다는 정부와 조선업계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자율운항선박이라는 플랫폼에 적용하는 다양한 세부 기술과 제품‧솔루션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이 하나의 가치망(Value Chain)에 연결하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네트워크로 보면 될 것”이라면서 “한국은 물론 해외 기업에도 문호를 개방해 관련 부문에서 최고의 솔루션을 도출하도록 머리를 맞대는 구심점이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업계 간 협력의 대표적인 예로, 지난 2021년 출범한 ‘H2 비즈니스 서밋’을 들 수 있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최정우 포스코 회장 등 15개 대기업 총수가 주도하는 ‘한국판 수소위원회’다. 정 회장은 “H2 비즈니스 서밋이 개별 단위의 기업 경쟁력뿐만 아니라 기업, 정책, 금융 부문을 하나로 움직이는 역할을 함으로써 수소 산업 생태계의 완결성과 경쟁력을 높이고 수소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리딩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길 기대한다”고 의의를 설명했다.

위원회라는 명칭을 쓰고 있지는 않지만, 기업이 전기자동차와 이차전지와 같이 미래 성장성이 높은 산업 부문에 완성차 또는 완성품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부품‧소재 등의 개발에 참여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전기차 생태계’ 및 ‘배터리 생태계’를 조성해 나가고 있다.

정부가 자율운항선박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제도를 개선하고 있으나 조선업계는 그리 빠르지 않다는 아쉬움을 토로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10월 발표한 ‘자율운항선박 선제적 규제혁신 단계별 이행안’을 통해 산업 활성화와 해양 안전 확보를 위해 총 4대 분야, 31개의 개선 과제를 발굴해 추진하고 있다. 4대 분야는 △운항 주체(자율운항선박 및 자율운항선박 운항 인력 관련 기준, 9건) △선박 장치(장비의 상용화 및 표준화를 위한 기준, 6건) △선박 운용‧인프라(운용 관련 기술 기준 및 제도‧인프라 구축, 7건) △해양 안전(운항에 대비한 사고‧안전 관련 기준, 9건)이다.

또 다른 조선업계 관계자는 “낡은 규제와 제도는 선제적으로 개선하고 안전은 강화해 신산업인 자율운항선박을 조기에 상용화하기 위한 정부의 조치를 크게 환영한다”면서도 “다만, 과도하게 신중한 검토와 검증으로 개선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것 같다. 보다 적극적으로 큰 틀에서 산업이 기반을 잡을 수 있도록 족쇄를 풀어주고 시행 후 불거지는 문제점이 발견되면 이를 고치는 방향으로 진행해주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