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사업장이 있는 화성, 평택, 용인시는 내년 삼성으로부터 납부받을 법인지방소득세가 각각 430억 원, 520억 원, 150억 원으로 추산된다.
내년 평택시는 올해보다 963억 원(69%), 화성시는 1541억 원(75%), 용인시는 486억 원(76%)씩 적게 받게 된다. 반도체 수요 감소와 재고 증가, 수출 부진 등으로 인해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 부진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가 지자체에 내는 법인지방소득세는 삼성이 낸 법인세(국세)의 약 10%를 ‘안분율’에 따라 배분한 액수로, 안분율은 총 종업원 수 및 사업장 연면적을 지자체별 총 종업원 수 및 총 연면적으로 나눈 뒤 이를 더해 2로 나눈 수치다.
해당 지역 사업장에 삼성전자 직원 수나 사업장 면적이 늘면 납부할 지방소득세도 증가하는 구조다. 올해 기준 안분율은 화성 29.2%, 평택 19.73%, 용인 9.01%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지방세 수입 감소로 인해 지자체는 긴축재정에 나서는 상황이다. 평택시의 경우 내년 세입 감소 규모가 1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 자체 사업 예산을 20% 축소하기로 했다. 화성시도 올해보다 30%가량 삭감하는 것을 기준으로 놓고 내년 본예산을 편성 중이다. 이밖에 용인시도 내년 본예산을 올해보다 15~20% 감축하는 계획을 세웠다.
홍석경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dtjrrud8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