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현대제철·동국제강 등 ‘초비상’ 상황
수요산업 부진으로 내수 시장 악화되는데
가격사고 품질 좋은 중국산 수입까지 늘어
정부에 반덤핑 요청 움직임에, 반대도 많아
수요산업 부진으로 내수 시장 악화되는데
가격사고 품질 좋은 중국산 수입까지 늘어
정부에 반덤핑 요청 움직임에, 반대도 많아

21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 국내 대표 철강업체들은 올해 상반기로 예정했던 설비투자 등 비용 집행 계획을 하반기로 연기했다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포스코의 경우 협력사·거래사 등을 중심으로 (투자 계획을) 연기한다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면서 “장인화 회장이 취임하면서 100일간의 현장 소통 활동을 진행 중이므로 그 일환이라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현재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는 점이 더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라고 설명했다.
현대제철과 동국제강 등 다른 철강업체들의 사정도 포스코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회사 측은 공식적인 것은 아니며, 제철소 등의 운영게획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수요산업 정체에 따라 유동성에 적신호가 켜진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 시황 악화로 건설·토목용 철강재 판매가 반토막이 난 가운데, 전기 자동차를 중심으로 한 자동차도 판매 둔화 영향에 따라 완성차 업체들의 하반기부터 생산 속도 조절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조선 업계용 철강재 수요는 살아있다고 하지만, 종류가 제한적이라 전체 시황을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게 철강업계의 설명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산 철강재 수입이 또다시 급증하고 있다. 비용을 아끼려는 수요 제조업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중국산 철강재로 눈을 돌리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3월 중국산 판재류 수입량은 148만1000t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0% 증가했다. 판재류 내수시장은 국내 3사가 지켜오던 부문인데, 이 시장에서 중국산 유입이 증가한 것은 이례적이다.
철강업계는 중국이 생산설비를 최신예를로 교체한 이후 고품질 제품군으로 인식되는 열연코일 아연도금강판, 컬러강판, 후판 등 판재류도 한국산에 못지않은 품질의 제품을 생산하
면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웃 나라는 지리적 이점 못지않게, 한국 시장에서 판재류 판매가 통한다면 이를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서의 입지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리기 위해 낮은 가격을 제시하는 중국 철강사들의 전략도 먹히고 있다.
수출시장에서도 중국산 때문에 고전하는 가운데, 내수시장까지 내어주는 상황이 벌어지면서 철강사들의 영업부담이 커지고 있다. 또 다른 철강업체 관계자는 “중국산보다 비싼 국내산 철강재의 가격을 보전해 주기 위해 물량할인 등을 동원하고, 판매 장려금도 늘리고 있지만, 역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수요 업체들로부터 외상 등 판매비 회수가 계획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더욱 심각하다”라고 말했다.
중국산 수입 증가를 막기 위해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철강협회를 통해 정부에 반덤핑(AD) 등 통상 카드를 활용해 줄 것으로 건의한 상황이다. 최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철강재에 관세를 3배 이상 인상한다고 발표하는 등 강력히 대응하는 것처럼 우리 정부도 대책을 마련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중국과의 관계를 더 이상 악화시켜선 안 된다는 정부의 입장이 있고, 또한 열연코일을 소재로 냉연코일. 강관 등을 제조하는 하공정 제강사, 일부 수요 업체도 중국산 철강재에 대한 수입 규제를 반대하고 있어 쉽게 결정 못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어느 한쪽으로의 결정이 늦어지고 있는 사이, 전쟁 등 수출시장도 불안해지면서 올해 철강업체들의 경영난은 쉽게 해결되지 못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채명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oricm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