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U는 지난 5월 말 철강 수입 세이프가드 조치를 2026년 6월까지 2년 연장하고, '기타 국가' 범주에 속하는 국가들의 열연강판 수입을 분기별 쿼터 내에서 15%로 제한한다고 세계무역기구(WTO)에 통보했다.
이탈리아 산업협회 아소페르메(Assofermet)는 이번 조치로 인해 EU 내 열연강판 공급 부족이 심화될 것이라며, 자동차, 건설, 엔지니어링 등 철강 소비 산업에 타격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소페르메는 "수입 철강은 EU에서 충분히 조달할 수 없는 등급의 제품이므로, 산업 경쟁력 유지를 위해 수입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베트남, 일본, 대만, 이집트 등 '기타 국가' 범주에 속하는 국가들의 열연강판 수출량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들 국가는 2023년 EU에 390만 톤의 열연강판을 수출했지만, 개정된 세이프가드 조치로 인해 연간 수출량이 226만 톤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분석이다.
아소페르메 파올로 상고이 회장은 "EU 기관과 협력하여 세이프가드 조치 개정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고, 유럽 산업에 필요한 철강 공급을 보장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철강 무역업체들도 EU의 세이프가드 조치 강화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특히, 열연강판 수출 쿼터 제한으로 인해 기존 EU 시장에 대량 공급하던 국가들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김진영 글로벌이코노믹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