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G, 생성형 AI '엑사원' 새 버전 공개…"생산성 극대화"

글로벌이코노믹

LG, 생성형 AI '엑사원' 새 버전 공개…"생산성 극대화"

최신 AI 모델 '엑사원 3.5' 오픈소스 공개
'챗엑사원' 정식 서비스…'AI의 일상화'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11월 열린 LG AI 인사이트 2024에서 한 해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 LG이미지 확대보기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이 11월 열린 LG AI 인사이트 2024에서 한 해 동안의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있다. 사진 = LG
LG AI연구원이 9일 성능을 한층 끌어올린 최신 AI 모델 '엑사원(EXAONE) 3.5'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8월 '엑사원 3.0'을 공개한 지 4개월 만이다.

'엑사원 3.5'는 △온디바이스용 초경량 모델(2.4B·24억 파라미터) △범용 목적의 경량 모델(7.8B·78억 파라미터) △특화 분야에 활용할 수 있는 고성능 모델(32B·320억 파라미터) 등 3종을 모두 오픈소스로 공개했다.

엉뚱한 답변을 그럴듯하게 생성하는 환각을 최소화하고, 답변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간 웹 검색 결과나 업로드한 문서를 기반으로 답변을 생성하는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고도화했다.

또 AI가 사용자가 입력한 질문을 단계별로 분해해 논리적으로 추론한 결과를 생성하는 기술(MSR)을 적용했다.
'엑사원 3.5'는 입력하는 문장의 길이에 따라 다르지만 A4용지 100페이지 분량의 장문도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모델 성능 평가 결과를 담은 기술 보고서도 함께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엑사원 3.5'는 미국, 중국 등의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과의 성능 평가 비교에서 △실제 사용성 △장문 처리 능력 △코딩 △수학 등 최고 수준 결과를 얻었다.

오픈소스로 공개한 '엑사원 3.5'는 온디바이스부터 고성능까지 3가지 모델 모두 연구 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며, 누구나 모델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이번 오픈소스 공개가 개방형 AI 연구 생태계를 촉진하고 혁신의 속도 역시 높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엑사원(EXAONE) 3.5 실제 사용성 성능,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 비교. 사진=LG이미지 확대보기
엑사원(EXAONE) 3.5 실제 사용성 성능,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 비교. 사진=LG


LG AI연구원 관계자는 "AI 기술이 국가별 주요 전략 자산이 되면서 자체 기술로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챗엑사원' 정식 서비스…AI의 일상화 시대


LG AI연구원은 임직원 대상 기업용 AI 에이전트 '챗엑사원(ChatEXAONE)'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며 'AI의 일상화 시대'로의 진입을 본격화했다.

LG 임직원들은 이날부터 전용 웹페이지에 접속해 가입하면 '챗엑사원'을 업무에 바로 활용할 수 있다.

'엑사원'을 기반으로 만든 '챗엑사원'은 정보 암호화, 개인 정보 보호 기술을 적용해 임직원들이 사내 보안 환경 내에서 내부 데이터의 유출 걱정 없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기업용 AI 에이전트다.

실시간 웹 정보 검색부터 문서 요약, 번역, 보고서 작성, 데이터 분석, 코딩까지 임직원들의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챗엑사원'에 '엑사원 3.5'를 적용하면서 성능을 고도화하고 '심층 분석'과 '출처 선택' 기능을 추가했다.

'심층 분석'은 여러 개의 질문이 섞여 있는 복합 질문을 했을 때 '챗엑사원'이 이를 단계별로 나눠 분석하고 추론한 뒤 종합적인 답변을 하는 기능이다.

'출처 선택'은 △범용 △해외 사이트 △학술 자료 △유튜브 등 검색 범위를 선택해서 목적에 따라 정확한 출처에 기반한 답변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다.

14개 직무, 133개 업무별 특화된 지시문을 추천하고 맞춤형 답변을 제공하며 임직원은 용도에 따라 관심 업무를 설정해 사용할 수 있다.

LG AI연구원은 임직원들의 피드백을 받으며 직무와 업무 분류를 계속 늘려갈 계획이다.

'챗엑사원'은 현재 한국어 기준 단어 2만개(영어 2만3000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3만2000 토큰(token)을 지원하며, 내년 상반기 12만8000 토큰으로 확장될 계획이다.

지난 2020년 12월7일 설립해 4주년을 맞은 LG AI 연구의 싱크탱크인 LG AI연구원은 '엑사원 3.5' 이후를 준비, 2025년 거대행동모델(LAM)에 기반한 AI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배경훈 LG AI연구원장은 "최근 생성형 인공지능 모델의 발전이 빨라져 업그레이드 속도전이 중요한 시기"라며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초인공지능을 목표로 혁신의 속도를 높이고 한국을 대표하는 프론티어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