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K하이닉스, PS 1700% 이상 제시에도 임협 '난항'…노조 '결렬' 선언

글로벌이코노믹

SK하이닉스, PS 1700% 이상 제시에도 임협 '난항'…노조 '결렬' 선언

사측, 영업이익 10%내 당해 연도 지급한도 재설정 가능…추가논의 제시
노조측, 영업이익 10% 모두 성과급으로 지급 주장…강경 투쟁 시사
SK하이닉스 이천 본사 모습.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SK하이닉스 이천 본사 모습. 사진=글로벌이코노믹
SK하이닉스 노사가 올해 임금협상에서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서 노조 측이 교섭 결렬을 선언했다. 사측과 노조간 의견차로 합의에는 시간이 더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SK하이닉스 전임직 노조와 사측은 전날 이천캠퍼스에서 '2025년 10차 임금교섭'을 개최하고 임금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에는 실패했다. 사측이 진전된 초과이익분배금(PS) 기준과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 등을 추가로 제시했지만 노조 측이 이를 받아들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PS는 연간 실적에 따라 매년 1회 연봉의 최대 50%(기본급의 1000%)까지 지급하는 인센티브다. SK하이닉스는 2021년부터 전년 영업이익의 10%를 재원으로 삼아 개인별 성과 등을 연계해 PS를 지급해왔다.

주요 쟁점은 실적에 따른 지급율이다.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영업이익 23조4673억원)을 달성하면서 올해 초 기본급 1500%의 PS와 격려금 차원의 자사주 30주를 지급했다. 노조와 구성원들은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만큼 이보다 높은 수준의 특별성과급을 주장하고 있다. 이에 노사는 올해 임금교섭에서 임금 인상률 외에 새로운 PS 기준도 협의하고 있다.
사측은 실적과 성과에 상응하는 성과주의 보상 원칙하에 기존 제시안에서 진전된 PS 기준을 추가 제시했다. 영업이익 10% 내 당해 연도 지급한도 재설정이 가능하고 지급 한도 초과분 규모와 지급 방식은 추가 논의하자는 입장이다.

앞서 사측은 지난달 진행된 8차 교섭에서 기존 1000%였던 PS의 상한선 기준을 1700%까지 높이고 PS 지급후 남은 영업이익 10% 재원 중 50%를 구성원들의 PS 재원으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남은 재원의 절반을 적립해 다시 구성원들에게 돌려주고 나머지는 미래 투자 등에 사용하자는 것이다.

다만 노조가 영업이익 10%를 모두 성과급으로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교섭은 결렬됐다. 노조는 성명문을 통해 "어떤 조정 의지도, 타협 노력도 보여주지 않았다"면서 "10차 본교섭을 끝으로 2025년 임금교섭의 결렬을 공식 선언한다"고 했다. 이어 "지금부터 우리는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한 강경 투쟁의 최종 국면으로 나아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