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종합] LG엔솔, 6조원 LFP 배터리 수주…美 테슬라 추정

글로벌이코노믹

[종합] LG엔솔, 6조원 LFP 배터리 수주…美 테슬라 추정

3년간 5조9442억원 LFP 배터리 공급 계약 체결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홀랜드 공장 전경. 사진=LG에너지솔루션이미지 확대보기
LG에너지솔루션 미시간 홀랜드 공장 전경. 사진=LG에너지솔루션

LG에너지솔루션이 6조원 규모의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따냈다.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장악한 LFP 시장에서 K-배터리의 영향력이 확대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5조9442억원 규모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맺었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는 지난해 매출의 23.2%에 해당하는 규모다. 계약 기간은 2027년 8월 1일부터 2030년 7월 31일까지다. 고객사 등 구체적인 내용은 '경영상 비밀 유지'를 이유로 밝히지 않았다.

업계는 이번 대규모 계약의 고객사가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북미 지역 에너지저장장치(ESS)용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지난달 미국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ESS용 LFP 배터리의 대규모 양산에 돌입했다.

ESS는 탄소중립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인공지능(AI) 산업이 커지며 주목받고 있다. 최근 AI 데이터센터가 늘어나며 그 중요성이 더 커지고 있다. 데이터센터는 전력이 끊이지 않고 원활하게 공급되는 것이 중요한데 ESS는 이를 예방하고 전력망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데 도움을 준다.

LG에너지솔루션의 LFP 배터리 관련 수주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회사는 지난해 7월 프랑스 완성차 업체 르노의 전기차 부문인 암페어와 전기차용 파우치형 LFP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공급 기간은 올해 말부터 2030년까지 총 5년이다.

또 지난 3월엔 대만 에너지 관리 업체 델타 일렉트로닉스와 미국 주택용 ESS 시장 공략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폴란드 국영전력공사 PGE와도 ESS 공급 계약을 맺었다.

이에 따라 CATL 등 중국 배터리 업체들이 장악하고 있는 LFP 시장에서 K-배터리 영향력은 더 커질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ESS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의 점유율은 93%에 달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본 계약은 해당 공급 이외에도 고객과의 협의에 따라 총 계약기간을 7년까지 연장이 된다"며 "이에 해당하는 물량을 추가 공급할 수 있는 계약을 포함하고 있어 계약 금액과 계약기간 등의 조건은 추후 변동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