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현대차·기아, 한국교통안전공단과 공공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혁신 업무협약

글로벌이코노믹

현대차·기아, 한국교통안전공단과 공공 데이터 기반 모빌리티 혁신 업무협약

셔클의 사업 노하우와 데이터, 공단의 공공 교통 관리 시스템 및 데이터 연계해 시너지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김수영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 (상무), 민승기 한국교통안전공단 모빌리티교통안전본부장(이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이미지 확대보기
업무협약식에서 (왼쪽부터)김수영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 (상무), 민승기 한국교통안전공단 모빌리티교통안전본부장(이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그룹

현대자동차그룹이 주도하는 모빌리티 생태계가 공공 교통 부문까지 포괄하며 고객에게 한층 확장된 이동의 자유를 제공하는데 박차를 가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최근 서울 강남구 현대차 강남대로 사옥에서 김수영 현대차·기아 모빌리티사업실장(상무), 민승기 한국교통안전공단 모빌리티교통안전본부장(이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공공 교통 데이터 기반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식’을 진행했다.

이번 업무 협약은 AI 등 첨단 모빌리티 기술과 데이터를 활용해 인구 소멸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대차·기아 수요응답 교통 솔루션인 셔클의 사업 운영 노하우와 그 과정에서 얻은 방대한 데이터를 비롯, 한국교통안전공단의 공공 교통 사업 경험 및 관리 시스템, 데이터가 상호 공유된다는 점에서 큰 시너지가 예상된다.

공유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양측은 지역의 교통 실태를 분석해 공공 교통 모델을 개발·실증할 계획이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의 모빌리티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정책과 제도를 제안함으로써 사회적 교통약자의 이동성을 개선해 나갈 예정이다.

이번 협력은 장기적인 관점의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으로까지 이어진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3월 소프트웨어 비전 행사 ‘Pleos 25(플레오스 이십오)’에서 사회·환경 문제 해결과 지속 가능한 미래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는 미래 모빌리티 생태계 ‘NUMA(Next Urban Mobility Alliance, 누마)’ 구축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