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S&P, LG전자 신용등급 전망 ‘긍정적’ 상향

글로벌이코노믹

S&P, LG전자 신용등급 전망 ‘긍정적’ 상향

신용등급 전망 BBB(안정적)에서 BBB(긍정적)으로 상향...지난 2022년 이후 3년 만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본사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본사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
국제신용평가기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한단계 상향조정했다.

22일 LG전자에 따르면 S&P는 LG전자의 신용등급 전망을 BBB 스테이블(안정적)에서 BBB 포지티브(긍정적)로 한 단계 상향 조정했다. S&P가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조정한 것은 2022년 10월 이후 3년 만이다. 앞서 올해 2월 국제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는 LG전자 신용등급 전망을 Baa2, 스테이블(안정적)에서 Baa2, 포지티브(긍정적)로 상향 조정한 바 있다.

이번 신용등급 상향은 LG전자의 견조한 실적과 최근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조달,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에 따른 기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당분간 현 상태를 유지한다는 의미의 ‘안정적’ 등급 대비 긍정적 평가로 현재 LG전자의 사업구조와 재무상황 등을 고려했을 때 향후 1~2년간 재무 지표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신용도를 개선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S&P는 “LG전자는 美 관세인상 등 어려운 환경 가운데 주력사업의 견조한 실적, 인도법인 상장을 통한 대규모 현금 유입, 지분 36.72%를 보유한 LG디스플레이의 턴어라운드가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가전 사업에서 거시경제 불확실성 속에서도 안정적인 수익성을 기반으로 주요 시장에서 탄탄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고 냉난방공조 사업은 데이터센터용 냉각솔루션 사업과 고효율 솔루션이 성장 동력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장 사업은 100조원에 달하는 수주 잔고에 더불어 수주 믹스 개선 등이 이뤄지며 수익성을 크게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관계사인 LG디스플레이의 실적 개선세도 LG전자 신용등급 평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LG전자는 LG디스플레이의 경영성과를 지분법손익으로 반영하고 있다. 인도법인 현지 증시 상장으로 인한 1조8000억원 이상의 현금 유입 또한 부채 감소 등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