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美·中 AI 패권경쟁 속 한국, "'균형 외교'로 기회 모색해야"

글로벌이코노믹

美·中 AI 패권경쟁 속 한국, "'균형 외교'로 기회 모색해야"

美 반도체 통제·中 오픈모델 확산, AI 생태계 양분
"한국, 응용 분야서 기회…반도체 압박 속 균형 모색"
"달러 패권 약화·금융 분절화 확대…새 질서 대비 필요"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연합뉴스
미국과 중국이 각기 인공지능(AI)용 고성능 반도체 통제와 기술 생태계 확장을 위해 오픈모델 전략으로 글로벌 AI 시장 경쟁을 강화하는 가운데 한국이 균형을 잡으면서 기회를 살리는 전략을 찾아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27일 한국경제인협회(FKI)에 따르면 서울 여의도 FKI타워에서 미국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PIIE),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공동으로 '세계 경제질서 재편: 무역, AI, 금융회복력의 해법 모색' 국제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쵸르젬파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중국 AI 경쟁이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AI는 미·중 전략경쟁의 핵심으로 미국의 반도체 통제와 중국의 오픈모델 전략이 글로벌 AI 생태계를 양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한국은 AI 응용 분야에서 기회를 창출할 수 있으나, 반도체 생산국으로서 미·중 양측의 압박 속에서 전략적 균형을 모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국제금융의 미래에 대해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전 국제통화기금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달러는 여전히 세계의 기축통화로서 압도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미국 재정적자 규모가 날로 커지면서 달러 패권이 위협받고 있다"며 "여기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까지 더해지면서 글로벌 통화 시스템은 더욱 다극화된 형태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전환기의 무역 전략과 관련해서 제프리 쇼트 PIIE 선임연구위원은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논리 기반 보호무역'이 강화되고 있으나 한국이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등을 통해 중국과의 교역·투자도 지속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글로벌 통화 시스템의 변화와 금융회복력에 대해 모리스 옵스펠드 PIIE 선임연구위원(UC버클리 교수)은 안보·주권 논리가 강화되며 자유로운 무역과 자본이동을 제약하는 '금융 분절화'가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류진 한경협 회장은 "지금까지 우리 경제는 자유무역의 혜택 속에서 성장해 왔지만 세계 경제질서의 구조적 변화는 우리에게 새로운 전략적 방향 설정을 요구하고 있다. 과거 성공 방정식만으로는 미래의 성공을 기약할 수 없는 시점"이라며 "이번 콘퍼런스가 단순한 이론적 논의를 넘어 구체적이고 실천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