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서민 생활 옥죄는 식품 물가 상승세

공유
1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서민 생활 옥죄는 식품 물가 상승세

이미지 확대보기
2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올랐다.

지난달 기록한 2%대 상승률을 한 달 만에 반납하고 다시 3%대 물가로 회귀했다.
물가를 끌어올린 주범은 20.9%나 오른 과일과 채소 등 농산물이다. 사과 가격 상승률은 71.0%고 대체재인 귤값도 78.1%나 오른 상태다. 이에 따른 신선과일 가격 상승폭만 41.2%다.

1991년 9월에 기록한 43.9%에 이어 32년5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식료품 가격이 상승하면 엥겔계수를 끌어올린다. 엥겔계수는 소득 중에서 식료품 지출 비중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엥겔계수는 일본·프랑스와 함께 세계 최고 수준급이다. 그만큼 식료품 물가가 높다는 증거다. 일본의 엥겔계수는 지난해 기준 27.8%다.

2000년 이후 최고치다. 코로나19 기간에는 여행 소비가 줄어드는 바람에 지수를 낮췄지만 최근 다시 느는 추세다. 물가 상승 속도가 임금 상승률을 앞서면서 실질소득도 줄어들고 있다.

식품 물가를 낮추려면 수입을 늘리는 게 답이다. 외국에서 식품을 수입해도 환율이 오르면 수입 가격을 올릴 수 있다. 최근 달러당 원화와 엔화의 환율이 오르는 것도 수입 물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다음은 농산물 교역을 막는 무역장벽을 해소하는 일이다. 우리나라 농산물 시장의 개방도는 낮은 편이다. 식량안보와 농민을 보호하려는 명분에서다. 하지만 물가 폭등 시기에는 수입을 늘려서라도 물가를 잡으려는 적극 행정이 필요하다.

엥겔계수를 높게 유지하면 도시 서민층의 삶이 어려워진다. 대다수 국가에서 식품 통관기준을 낮추고 관세를 없애 해외 농산물을 수입하는 이유다.

우리나라처럼 과일이나 채소 가격이 비싸고 종류도 적은 나라는 찾아보기도 힘들다. 먹고사는 문제를 해결하는 게 최고의 정치력이기도 하다.

총선 공약으로 농촌과 도시를 동시에 이롭게 할 먹거리 정책 묘안을 기대해본다. 지역구를 떠나 국가와 서민 경제의 활력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