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93년 창업한 엔비디아를 35년 만에 시총 최고 기업에 올린 게 그래픽처리장치(GPU)다. 2023년 오픈AI의 챗GPT 출시는 엔비디아에 시총 1조 달러 시대를 열어준 일등 공신이다.
이게 MS와 메타·구글 등 빅테크 기업과 스타트업이 대규모언어모델(LLM) 훈련을 위해 엔비디아 인공지능(AI) 칩 확보에 나서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엔비디아의 기업가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7.5%를 차지한다. S&P500 시총 하위 214개 기업을 모두 합친 것과 맞먹는 규모다. 지난해 11월에는 대표 우량주 30개의 주가 추이를 나타내는 다우 30지수에도 편입됐다.
삼성전자의 시총과 비교하면 13배 차이다. 엔비디아 창업 당시 세계 메모리반도체 시장 1위 기업이던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에 HBM 반도체 납품도 못 하는 처지다. 삼성전자의 2분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1조 원 이하다.
엔비디아의 파트너인 SK하이닉스의 9조 원대 영업이익과 대비되는 실적이다. 한마디로 모바일 시대 메모리반도체에 집중한 나머지 AI 시대에 대비하지 못한 탓이다.
엔비디아 반도체는 빅테크 기업 매출의 40%를 담당할 정도다. 생성형 AI는 물론 자율주행이나 헬스케어 등 AI 활용 분야는 확대일로다. 고성능 칩 수요도 폭발적으로 늘 수밖에 없다.
미국·중국·일본 등이 반도체 산업 지원에 사활을 거는 이유다. 반도체특별위원회 자료를 보면 국내 반도체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 비중은 5.25%로 미국(27.5%)·일본(54%)·유럽연합(EU·30%)보다 현저히 낮다.
반도체 재도약을 위한 대책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