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국 상호관세에 합종연횡 대응 통할까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미국 상호관세에 합종연횡 대응 통할까

EU는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총 940억 유로 규모의 상응 조치를 준비했다. 사진은 EU 외교이사회.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EU는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총 940억 유로 규모의 상응 조치를 준비했다. 사진은 EU 외교이사회.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6월 물가상승률은 0.3%다. 연간 기준으로 보면 2.7%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정책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는 의미다.

현재 미국과의 상호관세 협상을 마무리한 나라는 영국·베트남·인도네시아 등 3곳뿐이다.

향후 협상 전망도 낙관적이지 않다. 트럼프 관세정책이 미국 무역적자 감축과 제조업 활성화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각국이 미국의 관세 장벽에 맞서 합종연횡까지 모색하며 대응하는 이유다.

30%의 상호관세율을 적용받은 유럽연합(EU)의 경우 캐나다·일본과 협력을 강화 중이다. 미국의 일방적 상호관세 통보에 힘을 합쳐 대응하겠다는 의미다.
블룸버그 보도를 보면 EU는 미국의 관세에 대응해 총 940억 유로 규모의 상응 조치를 준비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도 미국과 합의에 도달하지 못하면 통상위협대응조치(ACI)까지 취할 태세다. ACI는 서비스, 외국인 직접투자, 공공 조달 분야 등에 제한을 둘 수 있는 강경 조치다.

고율 관세 통보를 받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아세안)도 마찬가지다. 중국의 우회 수출 경로라는 이유로 라오스·미얀마 등은 40%의 고관세를 내야 하는 처지이기 때문이다.

역내 교역과 투자를 늘리는 한편 EU와의 자유무역협정(FTA) 협상을 9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일본도 미국의 일방적인 관세 통보에 순순히 응하지 않으려는 속내다.

뉴욕타임스는 이재명 대통령도 주요국에 특사를 파견해 새로운 무역 파트너를 찾고 있다고 보도했을 정도다.

한국으로서는 FTA 체결국인 미국에 대한 관세를 더 내릴 여지도 없다. 다만, 민감한 농산물 시장을 추가로 개방하거나 비관세 장벽을 낮추는 게 최선의 대책인 셈이다.

미국 내 한국 기업 투자를 강조해 양보를 이끈다는 전략도 물 건너간 모양새다. 일본은 미국에 230만 개의 자동차 일자리를 만들고도 관세율이 1% 올라갔을 정도다.

무역적자와 재정적자 해소라는 미국의 장기 전략에 맞춘 협상 전략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