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19 팬데믹 시기인 2020년 이후 최대 유출 기록이다. 미국의 물가상승률이 목표치를 웃도는 데다 장기국채 발행 물량도 많아 시장에 불안감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규모 감세법안으로 향후 10년간 유발될 미국의 재정적자만 2조4000억 달러로 추산된다. 게다가 늘어나는 재정적자를 메꾸려면 장기국채를 계속 발행해야 하는 구조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 의장의 갈등은 미 국채 시장 발작을 키운 요인이다. 파월 의장 해임 압박은 금리 인하를 의미하고, 이는 장기적으로 보면 물가를 올릴 수밖에 없다.
통상 장단기 금리 격차는 장기 인플레이션을 전망할 때 벌어지는 특징을 보인다.
투자자들이 장기국채를 외면하자 미 재무부는 단기국채 발행을 늘리기로 했다. 발행 비중을 전체의 25%로 끌어올리고 차입 구조도 2년에서 7년 만기인 중기물 중심으로 바꾸겠다는 의미다.
미국뿐 아니라 영국·일본 등 주요국의 장기물 발행도 수요 부족 상태다.
주요국이 단기물 차입 의존도를 높이는 것은 시장의 수요에 대응하려는 조치다. 하지만 단기 차입 의존도를 높이면 향후 금리 상승 시 재정 부담으로 돌아올 수도 있다.
미국·일본 등 주요국의 장기국채 시장 불안은 아시아 국가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 한국의 장기물 국고채 금리가 오른 것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타결하지 못한 데다 소비쿠폰 지급으로 인한 재정 확대를 우려한 결과다.
앞으로 닥칠 금융시장 불안 요인은 많다. 국제결제은행(BIS)은 98조 규모로 불어난 외환 스와프거래 등 그림자 부채 위기가 아시아 국가를 덮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나섰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