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대미 관세 막판 협상 민관 총력전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대미 관세 막판 협상 민관 총력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부터).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왼쪽부터). 사진=연합뉴스
미국과의 상호관세 막판 협상의 핵심은 투자 규모다.

미국이 일본에 제시했던 요구액은 4000억 달러(약 557조 원)다. 트럼프 대통령은 막판 합의 당시 5500억 달러의 투자를 요구하며 압박한 바 있다.

한국이 애초 제시한 1000억 달러에 산업 협력을 더 한다는 협상안을 받아들이지 않은 이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과 김동선 한화 부회장이 대미 협상에 힘을 보태기로 한 것도 투자 액수를 늘리기 위한 유효 카드인 셈이다.
삼성전자는 이미 테슬라와 장기 파운드리 계약을 맺었다. 차세대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인 AI6를 텍사스 테일러 공장에서 생산하는 데 23억 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여기에 더해 연구개발센터 등에 총 450억 달러의 장기 투자도 계획 중이다.

대규모 투자에다 고용과 R&D 협력을 패키지로 제시하면 미국을 설득하기 쉽다는 판단에서다. 상호관세 협상 결렬 시 치러야 하는 손실을 고려한 조치다.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도 앞서 밝힌 210억 달러의 투자 액수를 상향 조정할 태세다.

한국의 전체 대미 수출액 중 자동차 비중이 27%에 이르는 데다 25% 관세를 물면 현대차의 경쟁력을 상실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단 미국 조지아 신공장의 생산능력을 더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특히 부품을 현지에서 생산하거나 구매를 늘리는 것도 투자를 확대하기에 안성맞춤이다.

미국의 숙원 사업인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카드도 있다. 이미 포스코인터내셔널과 SK E&S를 비롯해 GS에너지·세아제강 등이 관심을 표명하고 있다.

조선과 방산 파트너인 한화의 경우 미국의 조선업 재건 프로젝트에 수십조 원을 투자하기로 한 상태다.

재경·통상 장관과 한국 기업이 원팀으로 협력하면 대미 협상력을 극대화할 수 있다. 최소한 8월 1일부터 모든 대미 수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받는 일은 피해야 한다.

한국 경제에 돌이킬 수 없는 타격이 예상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