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소비쿠폰發 물가 불안 대책 있나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소비쿠폰發 물가 불안 대책 있나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국민적 관심을 끌며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국민적 관심을 끌며 '흥행'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가장 많이 사용한 곳은 음식점이다.

지난달 21일부터 2주 동안 신용·체크카드 사용액 5조6518억 원 가운데 41%인 2조6518억 원을 음식점에서 쓴 것으로 나타났다.

마트와 식료품 가게에서 사용한 액수는 4077억 원이었고, 편의점(2579억 원), 병원·약국(2148억 원), 의류·잡화(1060억 원), 학원(1006억 원), 여가·레저(760억 원) 순이다.

모두 생활 밀착 업종이다. 행정안전부가 9개 카드의 사용처를 분석한 결과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비율은 전체 국민의 94% 정도다. 경기침체로 고통받던 영세자영업자의 경우 소비쿠폰 효과를 톡톡히 보는 중이다. 매출만 놓고 보면 대형 점포와 비교해 2배나 증가했기 때문이다.

소비쿠폰을 못 쓰는 연 매출 30억 원 초과 가맹점의 매출이 1조2949억 원에서 1조3568억 원으로 4.8% 늘어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소비쿠폰 정책이 침체에 빠진 소비 경기를 회복시키는 데는 일단 성공한 셈이다.

정부는 여세를 몰아 휴가철 지방 소비 활성화로 이어갈 태세다.

80만 장의 숙박 쿠폰을 풀 숙박 세일 페스타 행사를 시작으로 여행 가는 가을 캠페인을 통한 교통·숙박비 50% 할인도 예정돼 있다.

10월 초 중국 국경절 연휴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외국인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도 허용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지방 체류형 관광사업을 벌여 지방 소비를 활성화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민생회복 소비쿠폰 영향으로 수박이나 소고기 등 농산물 물가가 오르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비싼 가격에 소비를 망설였던 품목을 중심으로 보복 소비를 벌인 탓이다.

수박 가격이 일주일 만에 2만9419원에서 3만3533원까지 올랐고, 공급을 늘린 한우 가격도 마찬가지다. 체감물가가 고공 행진 중인 점을 고려한 치밀한 소비쿠폰 정책을 집행해야 하는 이유다.

물가는 한 번 올라가면 되돌리기 힘들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