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약전력 300㎾ 이상의 경우 메가와트(MW)당 기준 요금이 18만5500원이고 300㎾ 이하는 15만4400원이다.
한국전력공사의 산업용 전기 판매량은 2022년 29만6035기가와트시(GWh)를 기록한 뒤 지난해 28만6212GWh까지 감소했다.
전력을 많이 사용하는 철강이나 석유화학 업체의 불황에다 전기요금마저 오르면서 기업들이 생산 자체를 줄이고 있다는 의미다.
우리나라 4인 가구의 여름 성수기 전기 사용량은 월평균 500㎾h 내외로 늘었기 때문이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보면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23년 8.4%에서 2038년 29.2%로 높여 나간다는 계획이다.
국가 차원의 대대적 정책 드라이브가 걸리지 않고서는 달성하기 어려운 목표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올라갈 수밖에 없는 전기요금이다.
재생에너지의 경우 전기생산 단가도 비싸고, 전력망 구축 비용도 많이 든다.
한국전력의 평균 전력 구매 단가를 보면 태양광이 ㎾h당 200원이고 해상풍력은 400원 수준이다. 한전의 지난해 전력 평균 단가인 ㎾h당 145원에 비하면 비싼 편이다.
해상풍력의 경우 1GW 규모 단지 건설 비용만 6조 원대다. 2030년까지 목표한 14GW 규모의 해상풍력 설비를 도입하는 데 100조 원이 필요한 셈이다.
재생에너지 수송을 위한 송전망과 에너지저장시스템(ESS) 등도 필요하다. 하지만 한전의 상반기 말 연결 총부채는 206조2000억 원이다.
작년 말보다 약 8000억 원 증가한 규모다. 올 상반기 5조9000억 원의 영업이익 중 이자를 갚는 데 2조2000억 원을 썼을 정도다.
효율성을 중시하는 유럽의 에너지정책 전환 사례를 참고할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