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문지형의 프롭테크 '썰'] ‘공간이 말을 걸 때’ 기술과 삶이 만나는 언어 프롭테크

글로벌이코노믹

[문지형의 프롭테크 '썰'] ‘공간이 말을 걸 때’ 기술과 삶이 만나는 언어 프롭테크

문지형 알스퀘어 대외협력실장
건설 현장의 드론.이미지 확대보기
건설 현장의 드론.
우리는 그 언어를 쓰면서 살고 있다. 아파트 앱으로 택배를 확인하고, 단지 내 화상진료 모니터에서 의사와 상담하며, 놀이공간에 아이를 맡기는 동안 앱으로 결제를 마친다. 이 모든 순간이 '프롭테크(Proptech)'다. 공간이 우리에게 말을 걸어오고, 그 말에 자연스럽게 응답하는 일상의 언어다.

공간의 불편함에서 시작된 이야기

프롭테크를 부동산과 기술의 결합이라고 설명하면 그럴듯하지만 본질은 다른 곳에 있다. 공간에서 발생하는 크고 작은 불편함을 기술로 해결하려는 시도다.

늦게 오는 택배를 기다리며 하루 종일 집에 머물러야 했던 경험, 복잡한 하자 보수 절차 때문에 몇 주씩 끌었던 기억, 층간소음으로 이웃과 갈등을 빚었던 순간들. 관리비 고지서를 받고 의심했던 적이 있고, 부동산 중개소에서 불친절한 대응을 받으며 불쾌했던 경험도 있다.
이런 일상의 페인포인트가 프롭테크의 출발점이다. 거주지든 업무공간이든, 사람이 머무는 모든 공간에서 반복되는 불편함. 프롭테크는 그 틈을 메우려 한다. 불편을 줄이고 시간을 아끼며 감정의 마찰을 덜어내는 일이다. 거창한 혁신이 아니라 작은 체감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스스로 프롭테크라 정의하는 기업들


한국프롭테크포럼에는 의외의 기업들이 모여 있다.

아이 돌봄과 놀이공간을 운영하는 '커넥팅더닷츠'가 있다. 언뜻 보면 육아 서비스 업체 같지만, 이들은 스스로 프롭테크라 칭한다. 주거 커뮤니티와 결합하고, 거주자 생활 패턴에 맞춘 공간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반려동물 케어까지 확장하면서 공간 내 모든 '가족 구성원'을 위한 통합 서비스로 발전했다.

실내 놀이공간을 운영하며 쇼핑몰의 소비 동선을 바꾸는 기업 '바운드'도 마찬가지다. 이들도 프롭테크라 정의한다. 단순히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머무는 편안한 공간을 설계하고, 그 안에 디지털 서비스를 자연스럽게 녹여낸다.

드론으로 건설 현장을 촬영하고 3D 분석을 제공하는 '엔젤스윙', 에너지 데이터로 건물 효율을 최적화하는 '한국그린데이터' 등도 프롭테크포럼에서 활동한다. 이들은 서로 다른 영역에 있지만 밀어주고 끌어주며 사업 기회를 모색한다.

기술이 아니라 감각이다


프롭테크를 기술의 진보로만 바라보면 본질을 놓친다. 기술은 수단일 뿐이다. 중요한 건 그 기술이 만들어낸 감각의 변화다.

사람은 편리함보다 익숙한 것을 선호한다. 프롭테크는 낯선 기술을 익숙한 감각으로 번역하는 일이다. 자신이 원하는 장소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자연스러워지고, 검증된 놀이공간에 아이를 맡기며 여유를 갖는 것이 당연해진다. 드론이 건설 현장을 점검하는 모습도 이제 놀랍지 않다.

이런 변화는 기술 자체가 아니라 기술이 만들어낸 일상의 리듬에서 온다. 성공하는 프롭테크 서비스들은 기술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는다. 대신 사용자가 그렇게 살았던 것처럼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프롭테크는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에 이름을 붙인 말이다. 우리는 이미 그 안에 있다. 그리고 그 이름을 어떻게 정의하든 그것과 함께 살아가고 있다.

이 글은 특정 기업을 위한 것도, 어떤 산업을 조명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우리가 낯설게 느꼈던 그 단어에 익숙한 얼굴을 부여하고 싶었다. 프롭테크는 건물과 기술의 결합이 아니라 사람과 공간이 어떻게 더 잘 지낼지 고민하는 기술이다.

그리고 고민의 한가운데에 언제나 사람이 있다. 공간이 말을 걸어오고, 우리가 자연스럽게 답하는 그 순간에도.

문지형 알스퀘어 대외협력실장이미지 확대보기
문지형 알스퀘어 대외협력실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