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 상승은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을 키울 수밖에 없다.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하지만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6개월 연속 4%대를 기록 중이다.
특히 서민 간식인 빵 가격은 6.5%나 뛰어 평균 상승률을 끌어올린 일등 공신 격이다. 식료품과 음식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6%씩 상승했다.
식료품(5.2%)·음식서비스(4.0%)·비주류 음료(3.9%)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 상승률 4.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의류 물가(2.9%)마저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상태다. 주거 물가는 관리비가 33.1%나 오른 데다 가스·전기 요금까지 7%나 올랐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제 에너지와 밀가루 등 수입 원자재 가격의 경우 오를 때와 내릴 때의 반영 속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기후변화 등으로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2021년 이후 120을 웃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국제 시세가 내릴 때 가격 인하에는 소극적이다.
당국이 주요 제분사 7곳에 대한 현장 조사까지 실시하는 이유다. 위법 사실이 드러나면 관련 법에 따라 엄정히 조치해야 마땅하다.
식생활 물가의 상승 요인인 농산물 유통구조도 마찬가지다. 농산물 운송비와 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다. 2019년 47.5%에서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유통업체의 경우 정부의 할인지원 사업에 따른 행사 직전 정상가를 인상한 뒤 할인 판매를 하기도 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할인액을 유통업체가 중간에서 가로채고 있다는 의미다.
이참에 과학적인 유통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농산물 개방에 대한 규제를 줄여나가는 노력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