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의식주 물가 상승세가 가파른 이유

글로벌이코노믹

[글로벌이코노믹 사설] 의식주 물가 상승세가 가파른 이유

이미지 확대보기
의식주 물가가 전체 소비자물가보다 빠르게 오르는 추세다.

민생과 직결된 의식주 물가 상승은 서민들의 체감물가 부담을 키울 수밖에 없다.

9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하지만 가공식품 물가상승률은 6개월 연속 4%대를 기록 중이다.

특히 서민 간식인 빵 가격은 6.5%나 뛰어 평균 상승률을 끌어올린 일등 공신 격이다. 식료품과 음식서비스 등으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는 최근 5년간 연평균 4.6%씩 상승했다.
한국경제인협회의 보고서를 보면 지난 5년간 평균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다. 그런데 주거 물가 상승률은 연평균 5.5%다.

식료품(5.2%)·음식서비스(4.0%)·비주류 음료(3.9%)로 구성된 식생활 물가 상승률 4.6%를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의류 물가(2.9%)마저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 높은 상태다. 주거 물가는 관리비가 33.1%나 오른 데다 가스·전기 요금까지 7%나 올랐기 때문이다.

문제는 국제 에너지와 밀가루 등 수입 원자재 가격의 경우 오를 때와 내릴 때의 반영 속도가 다르다는 점이다.

기후변화 등으로 세계 식량가격지수는 2021년 이후 120을 웃돌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국제 시세가 내릴 때 가격 인하에는 소극적이다.

당국이 주요 제분사 7곳에 대한 현장 조사까지 실시하는 이유다. 위법 사실이 드러나면 관련 법에 따라 엄정히 조치해야 마땅하다.

식생활 물가의 상승 요인인 농산물 유통구조도 마찬가지다. 농산물 운송비와 인건비 등 유통비용이 소비자 가격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0% 정도다. 2019년 47.5%에서 매년 높아지는 추세다.

유통업체의 경우 정부의 할인지원 사업에 따른 행사 직전 정상가를 인상한 뒤 할인 판매를 하기도 한다.

정부가 지원하는 할인액을 유통업체가 중간에서 가로채고 있다는 의미다.

이참에 과학적인 유통관리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농산물 개방에 대한 규제를 줄여나가는 노력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