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게다가 중국 등을 거쳐 밀항하는 사람도 있다. 일단 해외로 나간 뒤 인접국으로 이동할 경우 여행객 수조차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이유다.
캄보디아의 경우 지난해 기준 출국한 한국인 10만820명에 비해 귀국자는 9만7572명으로 집계됐다.
올해 8월까지 출국자(6만7609명)와 입국자(6만6745명) 사이에도 차이가 크다.
캄보디아 이민청 통계를 보면 한국인 입국자는 지난해 19만2305명이다. 올해 7월 기준 입국자도 10만6686명에 이른다.
한국에서 파악한 캄보디아 체류자와 큰 차이다. 캄보디아 범죄단지 등지의 사기 산업 종사자 통계도 한국 정부의 추정치 1000명과 현지에서 알려진 수치 간 2~3배 차이가 나는 이유다.
현지 범죄조직에 감금됐다가 폭행이나 고문 등으로 사망해도 정확한 피해자를 파악할 수 없는 구조다.
일본 외무성은 전 세계 재외공관을 인공지능(AI) 기반으로 연동해 실시간 위험 감시와 위치 파악은 물론 위기경보 자동 발령 시스템을 운용 중이다.
미국도 ‘스마트 트래블러’ 제도를 통해 해외 체류자를 데이터로 관리하고 있다. 사건 발생 시 자동 위치 추적과 구조 요청을 하기 위해서다.
여전히 재외공관 홈페이지를 통해 게시하거나 전화 연결과 보고 체계 중심인 한국의 영사 시스템과는 딴판이다.
재외국민 보호는 영사 업무의 핵심이다. 사고가 발생해도 주재국 경찰이나 언론 보도를 보고 대처하는 시스템으로는 사건 관리 이상의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차제에 디지털 기반 영사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외교부는 물론 법무부나 국가정보원 등의 정보를 취합해 데이터센터를 가동하고 출국부터 입국까지 위치 정보 조회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예산 부족으로 영사조차 늘리지 못하는 시스템부터 고쳐야 할 때다.